DOI QR코드

DOI QR Code

보안 우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마트폰 지출과의 관계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Online Security, Social Network Service, and Smartphone Expenses

  • 투고 : 2018.10.17
  • 심사 : 2018.12.04
  • 발행 : 2019.01.28

초록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친구들과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성장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온라인 보안 우려, 소설네트워크서비스, 스마트폰 지출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패널데이터를 기반으로 종단분석을 수행하였고, Amos 17.0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보면 온라인 보안 우려 초기치와 변화율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온라인 보안 우려 초기치와 변화율은 스마트폰 지출 초기치와 변화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의 초기치는 스마트폰 지출의 초기에는 정(+)의 영향력을 가졌지만 변화율에는 의미있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의 변화율은 스마트폰 지출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패널분석을 통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스마트폰 지출과의 관계에 대한 트랜드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The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spread rapidly with new issues in terms of the sec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verify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s among online security, social network service, and smartphone expense. The analyses were conducted on panel data of SNS users from 2015 to 2017 based on the SEM methodolog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xiety of online security had an effect on the SNS usag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of online security and SNS us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martphone expenses.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researchers and company managers, and an opportunity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social network trends.

키워드

CCTHCV_2019_v19n1_64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경로분석결과

표 2. 보안 우려와 SNS 활용에 대한 신뢰도 분석

CCTHCV_2019_v19n1_648_t0001.png 이미지

표 3. 상관관계분석

CCTHCV_2019_v19n1_648_t0002.png 이미지

표 4. 보안 우려와 SNS 활동에 대한 무성장모형과 선형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648_t0003.png 이미지

표 5. 스마트폰 지출에 대한 무성장모형과 선형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648_t0004.png 이미지

표 6. 모형적합도 검증

CCTHCV_2019_v19n1_648_t0005.png 이미지

표 7.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648_t0006.png 이미지

표 1. 인구통계적특성

CCTHCV_2019_v19n1_648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X. Lin, M. Featherman, and S. Sarker,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Users' Social Networking Site Continuance: A Gender Differenc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54, pp.383-395, 2017. https://doi.org/10.1016/j.im.2016.09.004
  2. J. Martins, R. Goncalves, T. Oliveira, M. Cota, and F. Branco,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Social Network Sites Adoption at Firm Level: A Mixed Methodology Approach,"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18, pp.10-26, 2016. https://doi.org/10.1016/j.elerap.2016.05.002
  3. 최정일, 장예진, "스마트 폰의 연령별 이용 형태와 보안의 필요성," 융합보안논문지, 제15권, 제5호, pp.89-97, 2015.
  4. 최민지, 절반 이상 개인 이용자, PC․스마트폰 보안피해 경험, 디지털데일리, 2016.7.14.
  5. 박정현, 강성민, "사용자의 PC와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보안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9권, 제3호, pp.69-89, 2017. https://doi.org/10.14329/isr.2017.19.3.069
  6. 신현민, 정보보안 인식수준 평가 사례를 통한 측정지표 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D. L. Huang, P. L. Rau, and G. Salvendy,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29, No.3, pp.221-232, 2010. https://doi.org/10.1080/01449290701679361
  8. M. J. Wolf, Measuring an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Program,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braska, 2010.
  9. K. Rammath and A. P. Paul, "Perceived Information Security, Financial Liability and Consumer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Vol.15. No.5/6, pp.358-368, 2002. https://doi.org/10.1108/09576050210447046
  10. N. K. Malhotra, S. S. Kim, and J. Agarwa,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5, No.4, pp.336-355, 2004. https://doi.org/10.1287/isre.1040.0032
  11. S. E. Chang, A. Y. Liu, and S. Lin, "Exploring Privacy and Trust for Employee Monitorin,"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ol.115, No.1, pp.88-106, 2015. https://doi.org/10.1108/IMDS-07-2014-0197
  12. 이기주, "스마트 사회의 보안위협과 정보보호 정책추진에 관한 제언," 한국통신학회지, Vol.30, No.1, pp.24-32, 2012.
  13. M. Sahinoglu, A. D. Akkaya, and D. Ang, "Can We Assess and Monitor Privacy and Security Risk for Social Network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57, pp.163-169, 2012. https://doi.org/10.1016/j.sbspro.2012.09.1170
  14. E. Sumuer, S. Esfer, and S. Yildirim, "Teachers' Facebook use: Their Use Habits, Intensity, Self-disclosure, Privacy Settings, and Activities on Facebook," Educational Studies, Vol.40, No.5, pp.537-553, 2014. https://doi.org/10.1080/03055698.2014.952713
  15. 김유정, 김재영, 한재민, "SNS 이용자 시민행동,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4994-5004,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4994
  16. W. Gao, Z. Liu, Q. Guo, and X. Li, "The Dark Side of Ubiquitous Connectivity in Smartphone-based SNS: An Integrated Model from Information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84, pp.185-193, 2018. https://doi.org/10.1016/j.chb.2018.02.023
  17. Y. Fratantonio, C. Qian, S. Chung, and W. Lee, ARTist: The Android Runtime Instrumentation and Security Toolkit, in: Proceedings of the 38th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SP'17, IEEE Computer Society, pp.1041-1057, 2017.
  18. 김현욱, "스마트폰 기술발전 및 기술 동향,"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1, No.2, pp.219-241, 2011.
  19. 강민수, 손희영, 석영기, "소비시스템접근에 의한 스마트폰 서비스품질 차원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장인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저널, Vol.6, No.1, pp.5-20, 2013.
  20. M. Salehan and A. Negahban,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When Mobile Phone Become Addi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pp.2632-2639, 2013. https://doi.org/10.1016/j.chb.2013.07.003
  21. S. H. Jeong, H. Kim, J. Y. Yum, and Y. Hwang, "What Type of Content are Smartphone Users Addicted to?: SNS vs. Gam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4, pp.10-17, 2016. https://doi.org/10.1016/j.chb.2015.07.035
  22. 윤형보, 왕보람, 박지윤,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앱 이용 특성과 앱 비즈니스 모델에의 시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32-4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32
  23.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4.
  24. L. N. Zlatolas, T. W. Marjan, M. Hericko, and M. Holbl, "Privacy Antecedents for SNS Self-disclosure: The Case of Facebook,"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45, pp.158-167, 2015. https://doi.org/10.1016/j.chb.2014.12.012
  25. 권영모,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pp.529-54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