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ople Directly Involved in Resolution to Bullying Problems and Conflict-Coping Method in Picture Books Regarding Bullying

또래 괴롭힘 그림책에서 나타난 갈등 해결의 주체와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분석

  • 정은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8.10.26
  • Accepted : 2019.01.12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closely picture books regarding bullying and to analyze people directly involved in resolution to bullying problems and conflict-coping method in those picture books. 71 picture books on bullying were examin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As person directly involved in resolution to bullying problems, 'victim by himself' settles a conflict situation over half of the books, followed by 'victim and other character' and 'other character alone'. (2) various types are described relatively evenly such as 'getting positive mind or building confidence', 'distancing bullies group or making new friends', 'gaining recognition by showing one's competence off', 'helping bullies or being nice to bullies' for conflict-coping method to bullying problems. I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community effort rather than an individual's own effort to solve bullying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teaching of language use in those boo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 그림책을 살펴보고 갈등 해결의 주체와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을 그리고 있는 그림책 71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갈등 해결의 주체를 살펴보았을 때 피해자가 스스로 또래 괴롭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본인과 다른 인물이 함께 해결하기와 다른 인물이 해결하기가 뒤를 이었다. 둘째, 갈등 상황에 대한 대처 방식을 살펴보았을 때 자신감을 증대하거나 긍정적인 심리를 획득하는 것, 가해자 무리를 떠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것, 자신의 능력을 선보여 인정을 받는 것, 가해자에게 도움을 주거나 친절히 대하는 것 등 다양한 대처방식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대처방식들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이를 바람직한 모델링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래 괴롭힘 문제의 해결에서 피해자 본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되 또래 괴롭힘 문제를 개인이 혼자 풀어야 하는 문제로 치부하기 보다는 사회 공동체적 노력에 대한 필요성, 그리고 그림책을 통한 언어 사용지도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갈등 해결의 주체

CCTHCV_2019_v19n1_373_t0001.png 이미지

표 2.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CCTHCV_2019_v19n1_373_t0002.png 이미지

표 3. 갈등 해결의 주체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373_t0003.png 이미지

표 4.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373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D. Olweus,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bullying: Some critical issues, Handbook of bullying in school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New York, NY: Routledge, 2010.
  2. http://news.donga.com/3/all/20180301/88918245/1#csidx4ee6ebaf59bc7f7b263353ee7430406
  3. 이현숙, 그림책 활용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정은실,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갈등쟁점 및 갈등해결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현우자, 유아의 갈등해결 전략과 또래 수용도 및 피수용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2006.
  7. 박소윤, 김민정, "만6세와 만9세 아동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pp.9-2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009
  8. 연혜민, 최경,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pp.972-98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972
  9. 유동관, "그림책화면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방식에 대한 어린이의 인지반응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7, pp.198-207,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198
  10. 이영자, 유아언어교육, 양서원, 2001.
  11. 박지혜, 국내 창작그림책에 나타난 또래 간 갈등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2. 연혜민, 창작그림책에 나타난 갈등 관계 및 갈등의 구조 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K. S. Flanagan, K. K. Vanden Hoek, A. Shelton, S. L. Kelly, C. M. Morrison, and A. M. Young, "Coping with Bullying: What Answers Does Children's Literature Provide?,"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Vol.34, No.6, pp.691-706, 2013. https://doi.org/10.1177/0143034313479691
  14. E. Moulton, M. A. Heath, M. A. Prater, and T. T. Dyches, "Portrayals of Bullying in Children's Picture Books and Implications for Bibliotherapy," Reading Horizons, Vol.51, No.1, pp.119-148, 2011.
  15. J. Entenman, T. J. Murnen, and C. Hendricks, "Victims, bullies, and bystanders in K-3 literatur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Vol.59, No.4, pp.352-364, 2005.
  16. 김혜원,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피해 경험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5호, pp.321-356, 2011.
  17. http://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86
  18. 장은주,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홍준표, 집단 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집문당, 2002.
  20. 이지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가구디자인 교육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1. 최연지, 정대련,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제18권, 제1호, pp.93-119, 2017.
  22. 박문희,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3. 이주희, 창작동화에 나타난 '왕따'(집단괴롭힘)현상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4. 조희숙, 전연우,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 간 갈등 양상,"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99-133, 2012.
  25. 고인옥, 사회적 갈등 상황에서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과 교사의 역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6. 유보리, 현대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어머니상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 사계절, 2005.
  28. 이민재,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여행 모티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9. 김율희, 그림책에 나타난 소수자의 이미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P. A. Oppliger and A. Davis, "Portrayals of Bullying: A Content Analysis of Picture Books for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Educ Journal, Vol.44, No.1, pp.515-526, 2015.
  31. 김석희, 초등학교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2. B. G. Pace, R. M. Lowery, and L. L. Lamme, "Not Like Us: Using Picture Books to Talk About Relational Bullying," Multicultural Perspective, Vol.6, No.1, pp.34-37, 2004. https://doi.org/10.1207/s15327892mcp0602_7
  33. 김정아,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