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구·경제·조직 측면에서 공기업 임금피크 근로자 분석

A Study on Public Enterprise Workers with Wage Peak System -Population, Economic and Organizational Aspects-

  • 투고 : 2018.11.30
  • 심사 : 2018.12.20
  • 발행 : 2019.01.28

초록

본 연구는 고령인력 증가가 다른 영역보다 빨리 진행되며, 인적자원관리가 쉽지 않은 공기업 임금피크 근로자의 인구 경제 조직적 특성과 임금피크제 및 퇴직 간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임금피크제 실시 공기업 19개사에 종사하는 임금피크 근로자 211명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구 경제적 특성에 있어서, 교육수준, 가계총수입, 퇴직 후 생활비, 퇴직대비저축과 투자금액은 임금피크만족도, 임금피크수용도, 퇴직준비와 퇴직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특성에서는 직급과 직군, 근무기간과 정년퇴직잔여기간, 퇴직준비프로그램 참여 그리고 임금피크 적용 여부에 따라 각각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사회를 위한 실효성 있는 임금피크제 시행을 위해서는 복지지원, 교육훈련, 전직지원과 같은 고령친화인사제도의 직군, 직급, 경제수준 및 교육수준 별 시행의 필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wage peak workers in public enterprises and their relationship between wage peak system and retirement, which is faster than other areas where the number of elderly workers is growing. The study targets 211 wage peak workers in 19 public enterprises engaged in the wage peak system, considering the level of aging and the size of wage peak work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post retirement cost, retirement saving and investment amount had an effect on wage peak satisfaction, wage peak acceptance,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tirement attitude. Next, asp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job title, working period, remaining retirement age, participation in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 and wage peak ap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effective wage peak system for the aged society was required to discus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by job group, position rank, economic level, and educational level of aged people such as welfare, education and former support.

키워드

CCTHCV_2019_v19n1_1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측정도구 구성

CCTHCV_2019_v19n1_174_t0001.png 이미지

표 2. 참여자 특성

CCTHCV_2019_v19n1_174_t0002.png 이미지

표 3. 인구학적‧경제학적‧조직적 특성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174_t0003.png 이미지

표 4.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4.png 이미지

표 5. 경제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5.png 이미지

표 6.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6.png 이미지

표 7. 퇴직 후 예상생활비와 퇴직대비 저축투자금액에 따른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7.png 이미지

표 8. 직급과 직군에 따른 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8.png 이미지

표 9.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09.png 이미지

표 10. 정년퇴직 잔여기간에 따른 차이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10.png 이미지

표 11. 임금피크제 적용 여부에 따른 차이분석

CCTHCV_2019_v19n1_174_t0011.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방하남, 어수봉, 유규창, 이상민, 하갑래, 기업의 정년 실태와 퇴직 관리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한국노동연구원), 2012.
  2. 박한준,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도입수준과 정책방향,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5.
  3. 박우성, 안종태, 오학수, 안희탁, 박희준, 윤동열, 성상현, 유규창, 김동배, 정년 60세 시대 인사관리, 호두나무, 2014.
  4. 기영화, "퇴직준비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델의 이론적 토대," Andragogy today(한국성인교육학회), 제13권, 제4호, pp.17-41, 2000.
  5. 최태선, 김형진, "지방공기업의 성공적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과제," 지방행정연구(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제29권, 제4호, pp.161-188, 2015.
  6. 박용철, "고령화 시대의 노동: 임금피크제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발전 방향," 노동사회, 제183호, pp.17-26, 2015.
  7. 오계택, "직무중심 임금체계를 위하여," 노동리뷰(한국노동연구원), 제150권, pp.9-18, 2017.
  8. 오현규, 박성민, "개인의 내재적 유교적 가치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 공공기관 내윤리적 가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제21권, 제3호, pp.65-93, 2015.
  9. 이정의, 교사 퇴직기대의 유형, 결정요인 및 퇴직준비교육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10. 장지연, 김대인, 신동균, 조준모, 조용만, 김정한,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II, 한국노동연구원, 2004.
  11. 고준기, "고령화 고용촉진을 위한 임금 등 보상체계의 변경을 둘러싼 법적과제," 기업법연구(한국기업법학회), 제21권, 제3호, pp.549-574, 2007.
  12. 노용진, 김미란, "호봉제와 근속연수별 임금격차," 산업관계연구(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제26권, 제1호, pp.1-25, 2016.
  13. 양동훈, 정년 60세 시대 대비: 직무중심 인사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인사 임금 사례 총람, 한국경영자총협회, 2014.
  14. 정동관, 공공부문 임금체계 현황과 과제, 노동리뷰(한국노동연구원), pp.1-18, 2017.
  15. A. S. Tsui, T. D. Egan, and C. A. O'Reilly III, "Being Different: Relational Demography and Organizational Attach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7, No4, pp.549-579, 1992. https://doi.org/10.2307/2393472
  16. K. Yang and A. Kassekert, "Linking Management Reform with Employee Job Satisfaction: Evidence from Federal Agency,"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 Theory, Vol.20, No.2, pp.413-436, 2010. https://doi.org/10.1093/jopart/mup010
  17. 이승철, "조직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직급체계 개편전략," 임금연구(한국경영자총협회), 제24권, 제1호, pp.20-33, 2016.
  18. G. Mikovich, J. Newman, and B. Gerhart, Compensation(11th ed.), McGraw-Hill, 2014.
  19. 이영면, 정선아,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기 임금피크제의 정책적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한국노동연구원), 제14권, 제1호, pp.35-67, 2014. https://doi.org/10.22914/JLP.2014.14.1.002
  20. 강수돌, 강승완, "임금피크제 도입에 대한 인식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pp.197-216, 2014.
  21. 한정란,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세대공동체 교육, 2001.
  22. 임주연, 정년퇴직준비프로그램이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퇴직 후 삶의 기대와 불안 및 퇴직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G. A. Hornstein and S. Wapner,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1, No.4, pp.291-315, 1985. https://doi.org/10.2190/4NRA-2UY5-UVA3-4RPQ
  24. 이승복, 임금피크제의 관리방식과 유효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5. 신유근, 조직행동론, 다산출판사, 1991.
  26. Y. K. Dwivedi, K. K. Kapoor, M. D. Williams, and J. Williams, "RFID systems in librari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system use and use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3, No.2, pp.367-377, 2013.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12.10.008
  27. H. G. Heneman and D. P. Schwab, "Pay Satisfaction: Its Multidimensional Nature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20, No.1, pp.129-141, 1985. https://doi.org/10.1080/00207598508246743
  28. S. Fong and M. Shaffer, "The dimensionality and determinants of pay satisfaction: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a group incentive pla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4, No.4, pp.559-580, 2003. https://doi.org/10.1080/0958519032000057592
  29. J. A. Colquitt,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3, pp.386-400, 2001. https://doi.org/10.1037/0021-9010.86.3.386
  30. J. R. Hackman and G.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31. 이지만, 박성훈, 정승화, 강철회, 조상미, "국내.일본 기업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임금피크제의 실행 효과와 그 향후 과제," 인적자원관리연구(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제19권, 제1호, pp.1-26, 2012.
  32. 박수호, 이민정, "행복 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인정," 사회와이론(한국이론사회학회), 제23권, 제2호, pp.361-391, 2013.
  33. 최은영,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4. 박종희, 고령화사회에서의 노동법적 과제, 노동법학, 제20권, 2004.
  35. 박성준, "우리나라 임금피크제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경제연구원 Issue Paper, 제9권, 제3호, pp.1-46, 2009.
  36. 이선우, 조경훈, "정부 임금피크제 도입에 관한 연구: 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2권, 제3호, pp.213-230, 2013.
  37. 권소영, 김성국, "한국기업 임금피크제 도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제30권, 제4호, pp.1-2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