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곽수근. 주먹 대신 '카톡 왕따'... 학교 폭력 피해 6만명. 조선일보 2019년 8월 28일자.
- 김경미. (2012).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 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2), 185-208.
- 김기모, 김현철. (2013). 청소년의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SNS 중독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 청소년 상담연구, 21(2), 477-495.
- 김재휘, 김지호. (2002). 인터넷 일탈행동 및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2), 91-110.
- 박소라, 김은미, 나은영. (2007).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유형화 및 유형별 친구 관계의 특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2(1), 39-81.
- 송원숙. (2018). 가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치사회화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9(2), 69-96.
- 신나민, 안화실. (2013). 청소년 사이버 폭력 현황 및 피해.가해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26(4), 1-21.
- 윤경운. (2006).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실태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 이미숙. (2010).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7, 5-30.
- 이지현, 한경혜. (2012). 예비노인의 친 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170-205.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170
- 이민아. (2013).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와 우울: U자형 관계와 대인신뢰의 조절 효과. 한국사회학, 47(4), 171-200.
-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익명 성과 청소년의 언어폭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보고서.
- 이성식. (2005).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 청소년 언어폭력에 미치는 영향: 기존 요인들과의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6(1), 77-108.
- 이원정, 정태은, 박진경, 심상효. (2017).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구강보건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 보건교육학회지, 18(1), 13-29.
- 이창호, 신나민, 하은빈. (2014). 청소년 사이버불링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보고서.
- 이화영, 조남억. (2018).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 지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5(4), 67-84.
- 임재민. (2016). 대면과 비대면 의사소통 능력 비교. 중국언어연구, 62, 21-239.
- 정다혜. (2018). 언어폭력 가해 요인 분석 및 척도 개발[박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 정여주, 두경희. (2014). 청소년 사이버폭력의 원인, 결과, 개입에 대한 연구 동향-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 청소년학연구, 21(8), 373-406.
- 정여진, 손서희. (2017). 청소년의 모바 일 SNS 사이버 언어폭력 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1-16. https://doi.org/10.7466/JKHMA.2017.35.2.1
- 정재민. (2007). 가족애착.가족대화.가족 관심과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4(2), 91-103.
- 조명희, 김정모, 류석상, 김인혜. (2017).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있어 SNS와 게임 집단 간 자기조절 이용 동 기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4(2), 297-317.
- 조아라, 이정윤. (2010). 사이버공간에서의 악성댓글 사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8(2), 117-131.
- 최규련. (2010). 가족환경과 학업 및 친 구 요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95-111.
- 최예나. (2019). 초등생 피해자.'정서적 폭력' 늘어난 학교폭력 실태조사 해보니. 동아일보 2019년 8월 27일자.
- Bacikova-Sleskova M et al. (2007).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school leavers' perception of health.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situation and social cont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2(3), 180-187. https://doi.org/10.1007/s00038-007-6071-4
- Falci C, Clea M. (2009). Too many friends: Social integration, network cohesion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Social Forces, 87(4), 2031-2062. https://doi.org/10.1353/sof.0.0189
- Infante DA, Wigley III CJ. (1986). Verbal aggressiveness: An interpersonal model and measure. Communications Monographs, 53(1), 61-69. https://doi.org/10.1080/03637758609376126
- Lincoln KD. (2000). Social support, negativ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ervice Review, 74(2), 231-252. https://doi.org/10.1086/514478
- Olsson GI, Marie-Louis N, Hans A, Anne- Liis VK. (1999). Adolescent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s.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53, 339-346. https://doi.org/10.1080/080394899427809
- Patchin JW, Hinduja S. (2010). Cyberbullying and self-esteem. Journal of School Health, 80(12), 614-621. https://doi.org/10.1111/j.1746-1561.2010.00548.x
- Pagel MD, William WE, Joseph B. (1987). Social Networks: We get by with (and in Spite of) a little help from our frien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793-804. https://doi.org/10.1037/0022-3514.53.4.793
-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https://doi.org/10.1146/annurev.soc.24.1.1
- Quintelier, E., Hooghe, M., & Badescu, G. (2007).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A comparison of Belgian, Canadian and Romanian survey dat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litical Socialization, 1-30. https://bit.ly/32gXWsj
- Rook KS. (1984).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5), 1097-1108. https://doi.org/10.1037/0022-3514.46.5.1097
- Tynes BM. Rose A, Williams D.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online victimization scale for adolescents.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on Cyberspace, 4(2),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