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포스트휴먼 시대 청소년의 정신 건강: 비대면 대화 매체 사용과 언어폭력 관련성 연구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the Post-Human Era: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Media and Verbal Violence

  • 이유미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
  • 오미영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Yi, Yumi (Humanity Research Institute, Chunang University) ;
  • Oh, Meeyoung (Department of Media & Communication, Gachon University)
  • 투고 : 2019.11.22
  • 심사 : 2019.12.13
  • 발행 : 2019.12.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erbal violence that adolescents face in the post-human age, when the non-face-to-face media is increas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5 adolescents, aged 14 to 16 year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0.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 of conversation that affects verbal abuse of adolescents, a model with a conversation with family,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messenger conversation such as KakaoTalk, and video chat conversation was selected. The amount of explanation was 11.4%. (R2 = .114) Of these, non-face-to-face conversation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verbal violence, and face-to-face conversations with family have, in turn, lowered the risk. As a result of t-testing to examine the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on the verbal violence index, the damage experience was significant in depression (p = .042) and impulsive aggression (p = .021). (P = .000). Conclusion: This study reiterates the importance of family dialogue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non-face-to-face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mental health.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수근. 주먹 대신 '카톡 왕따'... 학교 폭력 피해 6만명. 조선일보 2019년 8월 28일자.
  2. 김경미. (2012).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 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2), 185-208.
  3. 김기모, 김현철. (2013). 청소년의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SNS 중독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 청소년 상담연구, 21(2), 477-495.
  4. 김재휘, 김지호. (2002). 인터넷 일탈행동 및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2), 91-110.
  5. 박소라, 김은미, 나은영. (2007).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유형화 및 유형별 친구 관계의 특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2(1), 39-81.
  6. 송원숙. (2018). 가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치사회화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9(2), 69-96.
  7. 신나민, 안화실. (2013). 청소년 사이버 폭력 현황 및 피해.가해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26(4), 1-21.
  8. 윤경운. (2006).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실태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9. 이미숙. (2010).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7, 5-30.
  10. 이지현, 한경혜. (2012). 예비노인의 친 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170-205.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170
  11. 이민아. (2013).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와 우울: U자형 관계와 대인신뢰의 조절 효과. 한국사회학, 47(4), 171-200.
  12.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익명 성과 청소년의 언어폭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보고서.
  13. 이성식. (2005).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 청소년 언어폭력에 미치는 영향: 기존 요인들과의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6(1), 77-108.
  14. 이원정, 정태은, 박진경, 심상효. (2017).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구강보건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 보건교육학회지, 18(1), 13-29.
  15. 이창호, 신나민, 하은빈. (2014). 청소년 사이버불링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보고서.
  16. 이화영, 조남억. (2018).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 지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5(4), 67-84.
  17. 임재민. (2016). 대면과 비대면 의사소통 능력 비교. 중국언어연구, 62, 21-239.
  18. 정다혜. (2018). 언어폭력 가해 요인 분석 및 척도 개발[박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19. 정여주, 두경희. (2014). 청소년 사이버폭력의 원인, 결과, 개입에 대한 연구 동향-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 청소년학연구, 21(8), 373-406.
  20. 정여진, 손서희. (2017). 청소년의 모바 일 SNS 사이버 언어폭력 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1-16. https://doi.org/10.7466/JKHMA.2017.35.2.1
  21. 정재민. (2007). 가족애착.가족대화.가족 관심과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4(2), 91-103.
  22. 조명희, 김정모, 류석상, 김인혜. (2017).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있어 SNS와 게임 집단 간 자기조절 이용 동 기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4(2), 297-317.
  23. 조아라, 이정윤. (2010). 사이버공간에서의 악성댓글 사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8(2), 117-131.
  24. 최규련. (2010). 가족환경과 학업 및 친 구 요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95-111.
  25. 최예나. (2019). 초등생 피해자.'정서적 폭력' 늘어난 학교폭력 실태조사 해보니. 동아일보 2019년 8월 27일자.
  26. Bacikova-Sleskova M et al. (2007).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school leavers' perception of health.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situation and social cont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2(3), 180-187. https://doi.org/10.1007/s00038-007-6071-4
  27. Falci C, Clea M. (2009). Too many friends: Social integration, network cohesion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Social Forces, 87(4), 2031-2062. https://doi.org/10.1353/sof.0.0189
  28. Infante DA, Wigley III CJ. (1986). Verbal aggressiveness: An interpersonal model and measure. Communications Monographs, 53(1), 61-69. https://doi.org/10.1080/03637758609376126
  29. Lincoln KD. (2000). Social support, negativ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ervice Review, 74(2), 231-252. https://doi.org/10.1086/514478
  30. Olsson GI, Marie-Louis N, Hans A, Anne- Liis VK. (1999). Adolescent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s.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53, 339-346. https://doi.org/10.1080/080394899427809
  31. Patchin JW, Hinduja S. (2010). Cyberbullying and self-esteem. Journal of School Health, 80(12), 614-621. https://doi.org/10.1111/j.1746-1561.2010.00548.x
  32. Pagel MD, William WE, Joseph B. (1987). Social Networks: We get by with (and in Spite of) a little help from our frien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793-804. https://doi.org/10.1037/0022-3514.53.4.793
  33.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https://doi.org/10.1146/annurev.soc.24.1.1
  34. Quintelier, E., Hooghe, M., & Badescu, G. (2007).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A comparison of Belgian, Canadian and Romanian survey dat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litical Socialization, 1-30. https://bit.ly/32gXWsj
  35. Rook KS. (1984).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5), 1097-1108. https://doi.org/10.1037/0022-3514.46.5.1097
  36. Tynes BM. Rose A, Williams D.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online victimization scale for adolescents.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on Cyberspace, 4(2),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