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azardous microorganisms in mixed baby leafy vegetables and various baby leafy vegetables used as raw materials for fresh-cut produce in spring and summer. To estimate microbial loads, a total of 298 samples including 181 samples of mixed baby leafy vegetables purchased in a Korean market and 117 samples of various baby leafy vegetables from distribution companies were collected. Fecal indicators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as well as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were enumerated. As a result, the mixed baby leafy vegetable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coliform bacteria numbers in summer (5.59±1.18 log CFU/g) compared to spring (3.60±2.53 log CFU/g). E. coli was detected in 1.3% (1/79) and 42.2% (43/102) of samples collected in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Only one sample collected from a market in spring was contaminated with S. aureus. In the experiment with baby leafy vegetables, the number of coliforms detected in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soil in spring was 1.15±1.95 log CFU/g, and that in summer was 4.09±2.52 log CFU/g. However, the number of coliforms recovered from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media was above 5.0 log CFU/g regardless of season. Occurrences of E. coli were 44.4% (12/27) and 19.0% (4/21) for baby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soil and media, respectively. However,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are in relation to microbial loads on mixed baby leafy vegetables associated with raw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hygienic practices at baby leafy vegetable farms to enhance the safety of fresh produce.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의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조사하고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에 사용되는 원료를 재배방법별(토양재배, 상토재배)로 채취하여 재배방법이 어린잎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판 중인 어린잎채소 상품 181점과 어린잎채소 상품 원료를 재배방법별로 구분하여 117점을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coli)와 병원성미생물(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 aureus)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판 중 어린잎채소의 대장균군은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3.60±2.53 log CFU/g, 5.59±1.18 log CFU/g로 여름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E. coli의 경우, 봄철에는 A마트에서 수집된 시료 1점에서 검출되었으나 여름철에는 수집된 시료의 42.2%(43/102)점에서 검출되었다. S. aureus의 경우는 봄철에 1점에서만 검출되었고,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어린잎채소 원료의 대장균군의 오염도는 토양 재배한 경우 봄철에 1.15±1.95 log CFU/g, 여름철에는 4.09±2.52 log CFU/g 수준이었다. 한편 상토 재배한 경우는 계절에 관계없이 5.0 log CFU/g이상이었다. E. coli는 토양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에는 적청경채 1점에서 검출 되었으나 여름철에는 44.4%의 시료에서 E. coli가 검출되어 계절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과 여름철에 수집된 시료의 33%, 19%에서 각각 검출되어 시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aureus의 경우, 봄철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 1점에서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린잎채소 상품의 안전성은 원료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를 위해서는 농업생산환경 위생관리 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