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ost landslides in the country are shallow failures triggered by intense rainfall. Many researchers have revealed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shallow failure through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termine shallow failure using the gradient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For this, flum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weathered granite soil. To confirm the saturation state of the surface layer under a rainfall intensity of 30 and 50mm/hr, VWC sensors were installed at depths of 10 and 20 cm on the upper, middle and lower slop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a shallow failure determination using VWC could be applied limitedly according to the slope degree. In addition, the effective cumulative rainfall due to the rainfall infiltration velocity is considered the main factor for the failure time. The failure prediction using the gradient of the VWC depend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depth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ata, the measured value at 20 cm below the slope was most effective. Therefore, an analysis method of VWC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data for presenting the measurement criteria using VWC in the future.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대부분 강우에 의해 유발된 표층붕괴 형태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체적함수비를 통한 붕괴 예측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 특성을 통해 붕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실내 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강도 30, 50 mm/hr 조건하에 표층의 포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비탈면 상부, 중부, 하부 10, 20 cm 심도에 체적함수비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체적함수비를 사용한 붕괴 판단은 비탈면 경사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 침투속도에 의한 유효누적강우량이 붕괴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를 활용한 붕괴 판단 시 체적함수비의 설치 위치 및 심도에 의해 결과가 달라지는데 실험데이터에 의하면 비탈면 하부 20 cm에서의 계측 값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체적함수비 분석 방법 및 설치위치 선정 방법은 향후 체적함수비를 활용한 계측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