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nimation is a medium that can be enjoyed by many age groups, and it often reflects the discourse and ideology of the time. Therefore, studying the tendency of gender identity as it is expressed in animations is meaningful as a process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Therefore, I examined how the female characters' performative gender identity has been expressed in Disney animations and how it has changed. Disney animations have stuck to dichotomous gender performance, with men playing active and adventurous roles, while women play submissive and passive roles. Disney began to deviate slightly from the dichotomous gender performance through "Pocahontas" and "Mullan", which emphasized the heroic role of women. However, these animations have been limited in the way that love stories between men and women make up the main theme. In "Frozen", however, women actively explored their lives by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and expressed their happiness through sisterhood rather than love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Frozen," which expresses an active female character who sets up her own kingdom as an independent entit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changed gender performance.
영상미디어의 한 장르인 애니메이션은 여러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매체이며, 그 시대의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 표현되고 있는 젠더 정체성의 경향을 연구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과정으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의 수행적 젠더 정체성이 어떻게 표현되어 왔고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남성은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역할을 하고 여성은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역할을 하는 등의 이분법적 젠더 수행성을 고수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외모는 항상 아름답게 표현되었으며 이로 인해 죽음을 면하고 남성의 사랑을 받아 행복한 결혼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던 중 여성의 영웅적인 역할을 강조한 '포카혼타스'나 '뮬란'을 통해 이분법적 젠더 수행성에서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남성과 여성의 사랑이야기가 주를 이루는 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겨울왕국'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여 여성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남녀 사이의 사랑이 아닌 자매애를 통하여 행복한 결말에 이르게 됨을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그 시대의 규범에 맞서 독립된 주체로서 자신만의 왕국을 세우는 능동적인 여성 캐릭터를 표현한 '겨울왕국'은 변화된 젠더 수행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