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ctiv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Focused on Japanese Case

중소기업 CSR 활성화 방안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3.18
  • Accepted : 2019.06.20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Recently, the perce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changed. Until n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 temporary means to improve the image of a company, but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it is a prerequisite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entity.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has alter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as the global value chain has become important, it has become a growth strategy for small and medium-sized export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CSR is increasingly an integral part of the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his is no excep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Nevertheless, Korean small businesses' CSR is still lacking, and so the case of Japan, where CSR has spread to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despite the short period of time, is believed to give us policy implications. In the Japanese cas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traditionally passed down by Omi merchants in the 17th century.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company they thought was summed up by the so-called "sanspo-yoshi spirit" that is beneficial to sellers, benefits to buyers and helps society. Based on the case of Japan's CSR, which has been applied smoothly even to it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a national long-term plan is necessary. Second, it is urgent for smaller businesses to introduce their strategic CSRs. Third, CSR, which does mutual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should be pursued.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 일시적 방편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필수요건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시대나 경제환경에 따라 변해 왔으며 특히 글로벌 가치사슬이 중요해지면서 수출중소기업의 성장전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CSR은 기업의 활동에 점점 필수불가결한 영역이 되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에게도 예외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CSR은 미진한 상황이며, 그렇기에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까지 CSR이 확산된 일본의 사례는 우리에게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일본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17세기 오미 상인들로부터 전통으로 내려왔다. 이들이 생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판매자에게 이롭고 구매자에게 이득이 있으며 사회에도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이른바 산포요시 정신으로 요약된다. 이런 전통이 일본의 중소기업들에게까지 순조롭게 적용된 일본의 CSR 사례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적인 장기계획의 수립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중소기업의 전략적 CSR 도입이 시급하다는 점이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하는 CSR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가륜희(2011),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대한 이론적 고찰 . 회계와 환경 조직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 김진우(2017), 중소기업의 수출장벽으로 부상하는"사회적책임(CSR)", IBK경제연구소.
  3. 문두철(2019), "한국중소기업CSR의 현황과 과제," 한일중소기업 CSR포럼 발표자료, 오사카
  4. 안젤라,강주현(2015), CSR 전략과 CSV 인재: 혁신리더의 글로벌 경쟁력, 스타북스, 서울.
  5. 박선정(2014), 한국사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태와 구조적 한계 . 경제정의지수(KEJI)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6. 이재혁 외(2018), 중소기업 CSR경영 활성화 방안, CSR경영연구회,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7. 조금제(2018),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중소기업 CSR의 활성화방안," 벤처혁신연구, 1(1), 67-82. https://doi.org/10.22788/1.1.5
  8. 조명래(2006), 신자유주의, 기업,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환경과 생명. 서울.
  9. 조선일보(2017), 더 나은 미래와 IGI(Inno Global Institute)의 공동분석
  10. 중소기업중앙회(2013), 중소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 및 영향 조사결과 보고서, 중소기업중앙회.
  11. KOTRA(2013), 국제 CSR 동향분석 및 시사점, KOTRA.
  12. 최은영(2012),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 : 경제정의지수(KEJI)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3. Arenas et al.(2009), "The role of NGOs in CSR : Mutual perceptions among stakeholder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8(1), 175-197. https://doi.org/10.1007/s10551-009-0109-x
  14. Bowen, H.(1953),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Businessman, Harper and Brothers, New York.
  15. Carroll, A. B.(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s, 34(4), 39-48. https://doi.org/10.1016/0007-6813(91)90005-G
  16. Friedman, M.(1970),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increase its profits,"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7. Gallego-Alvarez(201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innovation: A resource-based theory," Management Decision, 49(10), 1709-1727. https://doi.org/10.1108/00251741111183843
  18. Marrewijk. M.(2003), "Concepts and definitions of CSR and corporate substantiality : Between agency and commun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44, 95-105. https://doi.org/10.1023/A:1023331212247
  19. McGuire et al.(1988),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rm financi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12(3), 66-78.
  20. Ministeriun fur Arbeit und Soziales(2018), CSR Made in Germany.
  21. Sandberg, K.(2012), ISO 26000 Common Protocol, ISO
  22. Vogel(2007), The Market for Virtue : The Potential And Limi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ookings Institute Press.
  23. Votaw, D., and S. P. Sethi(1973), The Corporate Dilemma : Traditional Values versus Contemporary Problems, Prentice Hall, New York.
  24. 谷本.治(2013), 責任ある競.力-CSRを問い直す, NTT출판
  25. 田中宏司, 水尾順一(2004), CSRマネジメント-ステ.クホルダ.との共生と企業の社.的責任, 生産性出版
  26. 三方よし硏究所(2012), 近江商人の理念と商法, Sun Rise출판
  27. 小倉榮一郞(2003), 近江商人の理念-近江商人家訓撰集, サンライズ出版
  28. 末永國紀(2004), CSRの源流 三方よし 近江商人學入門, サンライズ出版
  29. 渕上 清二(2008), 近江商人ものしり帖, サンライズ出版
  30. 池田 潔(2018), 現代中小企業の経営戦略と地域.社会との共生, ミネルヴァ書房
  31. 池田 潔(2018), 일본의 지방중소기업 CSR, CSV의 현황과 과제, 한일중소기업CSR포럼 발표자료.
  32. Nobuyuki Demise(2010), "CSR과 ISO26000 : 일본의 대응," 국제노동브리프, 18-25.
  33. 経済産業省(2004), 企業の社会的責任(CSR)に関する懇談会 中間報告書
  34. 経団連, 企業行動憲章(http://www.keidanren.or.jp/policy/cgcb/charter2017.html) (검색일: 2019년 4월)
  35. 東京財団政策硏究所, CSR硏究プロジェクト(https://www.tkfd.or.jp/research/result.php?ca=003055) (검색일: 2019년 4월)
  36. 三方よし硏究所, http://www.sanpo-yoshi.net/ (검색일: 2019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