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nger Management Program of the Psychotic Patient : Focus on Video and Tea Gathering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동영상과 차모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7.31
  • Accepted : 2019.11.13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psychotic patient after applying anger management video and tea gathering program to psychotic patient.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research and used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subjects were 16 patient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16 for a control group-32 in total- who were psychotic patients hospitalized in a closed ward in H mental hospital. The measurement variable is an aggressiveness scale,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measured once after the video program and once after eight tea gathering. Data Analysis methods were real number an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χ2 test,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aggression of an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F=14.38, p< .001). Aggressive sub-item, hostility (F=8.53, p< .001), anger (F=6.10, p=.004), verbal aggression(F=7.58, p< .001), physical aggression(F=13.92, p< .001) all of tt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nger management program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nger control in psychotic patient or in various groups.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분노관리 동영상과 차 모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정신질환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H정신병원 폐쇄병동에 입원한 환자32명이다. 측정변수는 공격성 척도로 프로그램의 효과는 동영상 프로그램이 끝난 후 1회와 8회의 분노관리 차모임 후 1회 총 2회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 χ2 test, t-test, paired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노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공격성 정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F=14.38, p< .001). 공격성 하부항목인 적대감(F=8.53, p< .001), 분노감(F=6.10, p=.004), 언어적 공격성(F=7.58, p< .001), 신체적 공격성(F=13.92, p< .001)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노관리 프로그램은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전체 공격성과 적대감, 분노감,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자나 다양한 그룹에서 분노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옥, 정신질환자의 공격행동유형에 따른 간호중재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강문희, 고희성, 이지혜, "정신질환자의 노화불안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329-33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329
  3. 보건복지부,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12.
  4. Korea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psychiatric news 2019[Internet]. Seoul: Update Korea," 2019[cited 2019 October 2], Avaialble from: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65.
  5. 신지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분노와 공격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은정, 아동의 분노표현 방식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심리적 가정환경,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오강섭, "불안증상을 보이는 노인 환자들에 대한 약물지침," 노인정신의학, 제7권, 제1호, pp.34-41, 2003.
  8. 정호성, 소지영, 정근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분노경험과 표현," 한국 신경정신의학회, 제39권, 제6호, pp.1045-1053, 2000.
  9. 신지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분노와 공격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0. H. D. Thornburg, Development in adolescenc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82.
  11. M. Hartley, Managing at Work, KMA, 2004.
  12. W. Gaylin, The rage within,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84.
  13. 김용섭, "분노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 논문집, 제12호, pp.71-90, 1994.
  14. 송현주, 민성길, 고려원, 이남훈, 김태경, 오경자, "정신분열병 환자의 공격 행동 예측 변인," 한국 신경정신의학회, 제42권, 제5호, pp.573-597, 2003.
  15.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하우출판사, 2009.
  16. 천한나, 박지연, "동영상을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공격성, 분노조절 능력,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학회, 제29권, 제3호, pp.61-84, 2013.
  17. 문은주, 고등학생용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8. 이성희,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분노실천을 통한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대한 효과 ,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9. 김성자, 분노조절 훈련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송현옥,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최광식, 비행청소년의 분노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이윤경,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김혜민,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김효원, 이숙, 백기청,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제9권, 제1호, pp.67-75, 2006.
  25. 문지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제14권, 제2호, pp.199-221, 2010.
  26. 정다희,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신질환자들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구효진, 이봉건,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제30권, 제2호, pp.381-396, 2011.
  28.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No.41, pp.1149-1160, 2009.
  29. 성태제, 시기자,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7.
  30. A, H. Buss and M. Per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3, pp.452-459,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31. 권석만, 서수균, "분노사고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1호, pp.187-206, 2005.
  32. 박윤아, 박지연,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공격성 및 정서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4권, 제1호, pp.23-42, 2008.
  33. E. R. Dahlen and J. L. Deffenbacher, "Anger management," In W. J. Lyddon and J. V. Jones Jr.(Eds), Empirically supported cognitive therapies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 ,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1.
  34. 전겸구, 똑똑하게 화를 다스리는 법, 21세기북스, 2007.
  35. 류창현, 최신 분노치료 워크북, 교육과학사, 2009.
  36. 이영,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7. 김래연, 공감훈련을 기반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8. 권영덕,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9. 박경택,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용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0. 손주영,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1. 김혜성,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남성알코올 중독자들의 분노 및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2. 김태희,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3. 고기숙, 이지숙, 유동환, 윤용희, "청소년의 분노표현 및 대처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445-462,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445
  44. 이상석, 이양희,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 및 문제해결 기술향상 프로그램의 웹을 통한 구현: 상담 및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93-11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