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 P. E. Bach's Improvisational Techniques in His Keyboard Fugues

C. P. E. 바흐 건반 푸가에 나타나는 그의 즉흥연주기법 고찰

  • 김영 (한세대학교 예술학부)
  • Received : 2019.09.24
  • Accepted : 2019.11.23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more carefully studying C. P. E. Bach's Fugues, which have been relatively less appreciated in his study. Fugue is the most sophisticated music with its highly contrapuntal texture, and it is often paired with the contrasting Prelude or Fantasia. C. P. E. Bach introduces an unprecedented attempt by merging seemingly contrasting Fugue and Improvisational passages into one piece of music rather than simply placing the two music pieces side by side. In his unprecedented attempt, the basic concept and typical form of Fugue are roughly maintained, but the insertion of improvisa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in both the subject and the detailed progression takes great importance. This Study examines the connection of C. P. E. Bach's Fugue and Improvisational Techniques by analyzing his 7 Fugues.

본 논문은 C. P. E. 바흐의 연구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그의 푸가를 재평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푸가는 대위적인 음악 가운데 짜임새가 가장 정교한 음악으로 흔히 대조적 성격의 즉흥적 프렐류드나 판타지아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C. P. E. 바흐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두 악곡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장르를 하나의 음악으로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푸가의 기본 개념과 전형적인 형식적 틀은 느슨하게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주제의 특징과 세부진행에서 그가 즉흥연주기법으로 피력한 바 있는 양식적 특징이 비중 있게 결합 되어있는 것이다. 본고는 C. P. E. 바흐 건반 푸가 전곡(7곡)의 분석을 통해 그가 추구한 즉흥연주기법과의 결합을 고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주리, "18세기 후반기(1750-1800)의 바흐상," 서양음악학, 제10권, 제2호, pp.11-32, 2007.
  2. Charles Burney, The Present State of Music in Germany, Broude Brothers, 1969.
  3. P. Schleuning, Die Freie Fantasie, Verlag Alfred Kummerle, 1973.
  4. 김려정, "르네상스 시대의 즉흥연주에 의거한 창작 지도법-가낫시와 오르티즈의 디비누이레 기법을 중심으로," 음악교육공학, 제24권, pp.59-83, 2015.
  5. 주대창, "즉흥연주," 음악과 민족, 제28권, pp.503-513, 2004.
  6. C. P. E. Bach, Eassay on the True Art of Playing Keyboard Instruments , W. W. Norton, 1949.
  7. Urlich Leisinger, Edited by Stanley Sadie, "Carl Philipp Emanuel Bach,"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Vol.2, 2nd ed, London: Macmillan, 2001.
  8. http://ks.petruccimusiclibrary.org/files/imglnks/usimg/b/b3/IMSLP, 2019.10.10.
  9. 김영, "C. P. E. 바흐 즉흥연주기법의 이론과 실제: 그의 시론서와 판타지아 총 18곡을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제21권, 제3호, pp.2-39, 2017.
  10. https://imslp.org/wiki/The_Division_Viol_(Simpson,_Christopher), 2019.10.13.
  11. 이선영,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오라토리오에 대한 연구:<<광야에서의 이스라엘인>>(Die Israeliten in der Wuste) Wq 238, H 775을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제17권, 제2권, pp.1-34, 2014.
  12. Carl Parrish and John F. Ohl, Masterpieces of Music before 1750 , Faber & Faber, 1973.
  13. Kent Kennan, 나인용 역, 대위법-18세기 양식, 세광음악출판사, 1981.
  14. Wallace Berry, Form in Music, Prentice-Hall Inc., 1986.
  15. 윤양석, 음악 형식론-악식과 분석, 세광음악출판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