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restoration of gilt-bronze shoes from the ancient tombs in Jeongchon Village, Bogam-ri in Naju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기술과 복원

  • 이현상 (충남역사문화연구원) ;
  • 이혜연 (국립고궁박물관) ;
  • 오동선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 강민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Received : 2018.03.27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2013~2016, gilt-bronze shoes wer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in Jeongchon Village located at Bogam-ri, Dasi-myeon in Naju.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5th or early 6th centuries. The gilt-bronze sho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erve to explic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Baekje and the local forc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is study's specific focus was the gilt-bronze shoes from the ancient tombs in Jeongchon Village. Based on the findings, a restoration drawing was designed and restored products were manufactured by considering metalwork techniques used to manufacture the original ones. At first, manufacturing techniques were tested by using a scientific analysis and visual observa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structures, and patterns of the gilt-bronze shoes were closely examined. Then, a design drawing of gilt-bronze shoes was created through field measurement and they were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original form of the restored products were manufactured through cutting out the outward form, bore carving, engraving, molding, plating, and an assembly process. In the restoration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gilt-bronze shoes,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archetypes during Baekje's late Hanseong era. Products restor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chievements for more easily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Baekje.

2013~2016년에 발굴한 전남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정촌고분에서 금동신발이 출토되었다. 이 고분은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백제 중앙과 영산강유역 현지세력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는데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촌고분 금동신발에 대해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복원도면을 만들었으며 제작 당시의 금공기술을 고려하여 복원품을 제작하였다. 우선, 과학적 분석과 육안관찰을 통해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금동신발의 구조와 문양, 제작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조사하였다. 이후 실측을 통해 금동신발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제작기술을 복원하여 외형절단과 투조, 조금, 성형, 도금, 조립공정 등을 거쳐 원형 복원품을 제작하였다. 정촌고분 금동신발 복원과정에서 백제 한성기 후반의 금동신발의 외형적 특징, 제작기술의 이해와 더불어 백제시대 당시의 원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복원된 결과물이 백제문화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성과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발굴조사보고서
  2. 吉井秀夫, 1996, 금동제 신발의 제작기술 석오 윤용진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3. 국립광주박물관, 1997,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I
  4. 신영호, 2000, 무령왕의 금동제 신발에 대한 일고찰 고고학지 11, 한국고고미술연구소
  5. 정광용, 2001, 무령왕릉 왕비 신발의 제작기법 연구 호서고고학 4.5, 호서고고학회
  6.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外, 2007, 공주 수촌리유적
  7. 복천박물관, 2010, 履, 고대인의 신
  8.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1,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유물 보존
  9. 김성곤.최기은.이지현, 2011, 비파괴 분석을 통한 백제 금동관의 재질 특성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10. 이현상, 2011, 한성시기 백제 금동식리의 제작기술과 그 특징 역사와 담론 59, 호서사학회
  11.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4, 나주 정촌고분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12.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나주 정촌고분 발굴조사 보고서
  13.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5, 마한의 수장, 용신을 신다
  14. 이훈, 2015, 금동신발로 본 복암리 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삼국시대 복암리 세력의 위상과 주변지역의 동향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5.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5,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의 과학적 분석
  16. 이문형.유수화, 2015, 고창 봉덕리1호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방법과 문양-4호석실 출토품을 중심으로- 마한백제문화 25,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7. 임영진.조진선.이정민.오동선.강은주, 2015,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