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servation Status and Vitalization Plan for Railroad Car Heritage

철도차량유산의 보존현황과 활성화 방안

  • Received : 2018.03.06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L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tudies on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have merely focused on modern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nd on excavating the cultural heritage of modern rail transportation. Endeavors of institutions relevant to railways to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were not sufficiently made. Only the internal guideline to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made by the railway corporation is being implemented. This study aims to assert the need to examine the protective measures of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and to vitalize plans of conserving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Also, plans to protect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and methods to invigorate schemes of protecting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will be suggested. The current situation of protecting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was investigated via a field trip. Through exploring overseas examples of protecting the heritage of the railroad cars, ways to vitalize plans of widely publicizing the heritage of the railroad cars with their historical values were suggested.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way of openly exhibiting conserved railroad cars by setting up stands other than the way of exhibiting and conserving in one site was necessary. Second, in order to properly preserve and manage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railroad cars, much like natural monuments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eed to be perceived as cultural properties. Also,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to include railway heritage. Third,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should be heightened, and SNS, blogs, and cafes need to strategically promote this heritage in order to increase the public's interest. Fourth, in addition to enacting legislations and gaining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the budget to operate the responsible department, and employing staff for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should be resolved as a priority in order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managing this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rationally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and invigorate plans to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railways, it is necessary to garn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enact the appropriate legislation.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is priceless and has a social value in terms of regional icons, historic marks, and the record of life. It is considered that in this situation, the standard of amending both policy an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for the heritage of railroad cars should be urgently established.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발굴과 보존 연구는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근대 문화유산등록제도와 근대 철도교통문화유산 발굴 작업 등에 국한되어 왔다. 한편 철도관련 단체 등의 노력은 미비하였고 철도공사에서 철도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내부지침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철도문화유산 중 철도차량유산을 중심으로 보존 및 활성화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철도차량유산의 현장답사를 통해 보존현황을 파악하였고, 해외의 보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철도차량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인식하고, 널리 알리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철도차량유산들은 한 장소에서 보존 전시만 할 것이 아니라 보존 차량의 개방 및 관람대를 제공하여 관람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둘째, 천연기념물이나 무형문화재와 같이 철도를 하나의 문화재 범주로 인식하고 문화재보호법 개정을 통해 문화재 항목을 신설해야 한다. 셋째, sns 및 블로그와 카페를 활용한 전략적 홍보를 통해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키고,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넷째, 법령 및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철도차량유산을 관리하고 이를 운영할 예산, 전담부서, 전담인원의 충원은 문화재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철도문화유산의 합리적인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법적 조항을 만들어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보존의 근거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철도차량유산은 그 보존 가치가 높고, 지역의 상징이자 역사의 흔적이며, 삶의 기록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책 및 보호법 개정에 대한 기준의 정립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공양, 2016, 도시재생사업 사례의 성과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8-19
  2. 문화재청, 2012, 문화유산 향유 및 관리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pp.17-26
  3. 문화재청, 2017, www.cha.go.kr. 문화재 검색
  4. 배수빈, 2017, AHP를 이용한 철도폐선부지 활용 우선순위 실증분석: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3-34
  5. 신동혁.이영란, 2015, 등록문화재 철도 역사의 지역청소년 문화공간으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 시설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33-135
  6. 이용상, 2009, 철도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정성적 연구 한국철도 학회논문집, 12(5), pp.778-787
  7. 이용상.정병현, 2011, 한국 및 일본의 철도문화유산 보존제도 비교연구 철도학회논문집 14권 2호, pp.174-180
  8. 이용상.정병현, 2012, 일본 및 영국의 철도문화유산 보존제도 및 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철도학회논문집 15권 4호, pp.399-400
  9. 이현정, 2010, 철도역사 급수탑 주변 활성화에 관한 연구 철도학회논문집, 13권 4호, p.357
  10. 정상우.장호수.박가나.김성태.류호철.회보선, 2013, 문화유산 활용 종합계획 수립 및 제도 정비 방안 마련 연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4
  11. 한국철도시설공단.한국철도문화재단, 2012, 철도문화유산의 수집.보존 및 활용을 위한 연구 용역 용역보고서, p.13, p399
  12. 박기춘, 2013, 철도문화유산의 수집.보존 및 활용을 위한 연구: 철도문화유산보존과 박물관구상 2013 정기국회 정책자료집, pp.175
  13. 석민재, 2015, 철도 문화유산의 보존 실태와 향후 관리방안 연구 : 철도차량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4-22, pp.46-54, pp.62-67
  14. 한국철도공사, 2017, 철도문화재 관리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