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me Review, and Production Method of Pyeongjeongmo, Hous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평정모(平頂帽)의 명칭 검토와 제작방법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진덕순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이정민 (국립고궁박물관.이화여자대학교)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5.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legitimacy of the name of those sixteen pieces of hat artifacts known in Korean as pyeongjeongmo and currently hous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is was undertaken in order to rectify the error of calling them pyeongjeongmo. Also, the paper suggested pyeongjeongmo's production method to apply representation of the artifacts or production of Joseon officials' hats as representation of ritual costumes in the royal court. The name pyeongjeongmo originated from pyeongjeonggeon. Gyeongguk Daejeon recorded that noksas wore yugak-pyeongjeonggeon and seoris wore mugak-pyeongjeonggeon, but the pyeongjeongmo artifacts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have been found irrelevant to those pyeongjeonggeons put on by both noksas and seoris. Rather, they has been confirmed as corresponding to dugeon or jogeon worn by byeolgams or suboks who served at the palace of the crown prince or princes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rtifacts, the researchers could find out the tailoring and sewing methods, the finished look, and the folding manner of pyeongjeonggeon. Although the structure of pyeongjeonggeon was generally consistent, the frontal look wa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folding manner, resulting in three distinguished types of pyeongjeonggeon. Regardless, the pyeongjeongmo was made with one piece of fabric by a flat tailoring and folding metho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hat. The finished shape appeared low in the front and high in the back side structure. The head girth was 55~59 cm, and the height was 19.4~21.5 cm. To make it with one piece of fabric, the head girth part was tailo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rands. Based on the artifact Changdeok 23820, this paper has also suggested a finished reproduc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preparing the materials, mounting, making the center ornaments, sewing and folding. The tailoring was completed with black silk fabric which was cut in a unique shape designed in advance, and hemp fabric which was mounted to the former. The top part of the head was finished with black threads, and the center line at the back was fixed with decolored cotton threads by blanket stitches with 3.5~4 cm intervals. Bamboo strands were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front-folded part, which then was fixed by patterned stitches with white cotton thread. At the back, a small bamboo clasp was attached so that one can lock it to the headband and prevent it from falling off.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6점의 '평정모' 유물에 대한 명칭을 검토하여 그간 사용해 온 '평정모'라는 명칭의 오류를 바로 잡고 유물을 토대로 제작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유물 재현에 활용하거나 궁중의례 재현용 관모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정모'라는 명칭은 '평정건'에서 유래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녹사(錄事)는 유각평정건(有角平頂巾)을 쓰고, 서리(書吏)는 무각평정건(無角平頂巾)을 쓴다고 하였으나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평정모 유물은 녹사나 서리가 사용하였던 평정건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히려 세자궁 빈궁의 별감(別監)이나 수복(守僕) 등이 사용하던 흑주두건(黑紬頭巾), 또는 조건(?巾)에 해당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유물 조사를 통해 재단 방법과 바느질 방법, 완성된 형태와 접어 보관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정모의 구조는 동일하나, 접었을 때 정면에 드러나는 형태에서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평정모는 한 조각으로 평면 재단하여 접는 방법으로 입체적인 모자로 만들었는데 앞이 낮고 뒤가 높은 구조를 이루었다. 머리둘레는 55~59cm이며, 높이는 19.4~21.5cm이다. 1장으로 재단하기 위하여 머리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을 식서 방향으로 재단하였다. 유물 <창덕 23820>을 토대로 재료 준비, 배접하기, 중심 장식 만들기, 바느질하기, 접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재현품을 제시하였다. 미리 계산된 독특한 형태로 재단된 흑색 주(紬) 겉감에 삼베를 배접하여 재단을 마무리하였다. 머리 윗부분은 검정색 실로 징궈 주었고 뒤 중심선은 소색 면사를 사용하여 3.5~4cm 간격의 블랭킷스티치로 고정하여 형태가 완성되었다. 앞 중심의 접힌 부분 안쪽에는 착용 시 앞쪽 형태를 곧게 유지하기 위하여 대나무 심을 넣고 흰색 면사로 일정한 모양의 스티치를 해서 고정시켰으며 뒤쪽에는 망건에 고정할 수 있는 길이 2.5cm, 너비 0.6cm 크기의 대나무 첨자(籤子)를 달아 착용 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안동대학교

References

  1. 이훈종 편저, 1970, 國學圖鑑, 一朝閣, p.11
  2. 전지연, 2006, 장황에 쓰인 풀에 관한 문헌연구 생활문물연구 제19호, p.30
  3. 韓國學文獻硏究所, 1983, 續大典, p.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