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aiwan and Comparison of Joseon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 Oh, Chun young (National Museum of Korea, Children's Museum Division)
  • 오춘영 (충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 Received : 2018.09.30
  • Accepted : 2018.11.13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aiwan and Korea have common memories of colonization by Japan. Therefore, for researchers studying colonial times, the two countries are becoming good comparative studies. In this article, a comparison of cultural properties systems between Taiwan and Joseon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from a legal point of view, Japan's internalism was reflected to some extent in Taiwan. Accordingly, Taiwan's "Enforcement regulations for Historical scenic spot scenic natural monument storage method(short, Enforcement regulations)" was subordinate to Japanese law, and the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for Treasure and Historical scenic spot scenic natural monument storage method in Joseon(short, Enforcement ordinances)" was less than the preservation order of Taiwan. But it is not possible to equate the two differences to Japan's oppressive levels. Second, while the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enactment referred to relevant laws that were promulgated in Japan, it is highly likely that Taiwan's "Enforcement regulations" When establishing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order,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all laws concerning cultural properties of Japan and Taiwan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aiwan and Joseon in the quantity and content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was huge. The difference in the designated quantity between Taiwan and Joseon was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between the two regions, which led to 14 times mor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in Joseon than in Taiwan. And while nearly half of Taiwan's history was the vestiges of Japan's ruling power, few of the ancient sites designated by the Joseon had traces of Japanese ruling forces. This is the result of a difference in the views that the two powers had on cultural properties.

대만과 한국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라는 공통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두 나라는 좋은 비교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만과 조선의 문화재 제도 분야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으로 보면 대만에서는 일본의 내지연장주의가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대만의"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은 일본의 법에 종속적이었고, 조선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이하 보존령)"은 대만보다는 독립적이었다. 그러나 이 두 차이를 일본의 압제 수준의 차별로 등치시키기는 어렵다. 둘째, 조선의 "보존령"제정에는 일본에서 공포되었던 관련 법령들이 참고되었으나, 대만의 "시행규칙"도 참고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의 "보존령"을 제정할 때에는 일본과 대만의 문화재에 관련된 모든 법령을 참고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문화재 지정 수량과 내용에서 대만과 조선의 차이가 컸다. 대만과 조선의 지정 수량 차이는 두 지역 간의 전통문화자원의 차이가 가장 크며, 이에 따라 조선에서 지정된 문화재가 대만보다 14배 정도 많았다. 그리고 대만의 사적 중 절반 가까이는 일본 지배세력의 흔적들이었던데 비해, 조선에서 지정된 고적 중에는 일본 지배세력들의 흔적이 거의 없었다. 이는 두 지역 통치세력이 문화재에 대해 가졌던 시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신, 2001, 대만의 역사, 知永社
  2. 문준영, 2004, 제국일본의 식민지형 사법제도의 형성과 확산 - 대만의 사법제도를 둘러싼 정치.입법과정을 중심으로 법사학연구 30, 한국법사학회
  3. 金志宣, 2008, 조선총독부 문화재정책의 변화와 특성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한국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4. 부산박물관, 2013, '포모사' 타이완 문화
  5. 오영찬, 2015, '고적'의 제도화: 조선총독부 문화재 정책의 성립 광복 70주년, 식민주의 청산과 문화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6. 최석영, 2015, 일제의 조선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서강대학교출판부
  7. 김용철, 2017, 근대 일본의 문화재 보호제도와 관련 법령 미술자료 92, 국립중앙박물관
  8. 최석영, 2018, 일본 고고학사와 식민지 고고학을 만나다, 서경문화사
  9. 許淑君, 2001, 臺灣文化資產保存發展歷程之研究(1895-2001) : 以文化資產保存法令之探討為主, 雲林科技大學文化資產維護研究所 碩士論文
  10. 林春美, 2002, 文化資産的槪念歷史文物 111, 國立歷史博物館
  11. 林一宏, 2011, 臺灣文化資產保存歷程概要 台灣博物館學刊, 64期之1
  12. 林會承, 2011, 臺灣文化資產保存史綱, 台北 : 遠流
  13. 王世安, 2016, 台灣有形歷史保存法制發展史 (1895-2015 ) : 從國家目標與權利保障之互動談起 國立臺灣大學法律學院法律學界 碩士論文
  14. 臨時臺灣土地調査局, 1901, 臺灣舊慣制度調査一斑
  15. 臺灣總督府民政部蕃務本署, 1912, 理蕃槪要
  16. 手島兵次郞(法學士), 1913, 臺灣慣習大要, 臺法月報發行所
  17. 국립중앙도서관 원문정보 데이터베이스(http://www.nl.go.kr)
  18. 臺灣總督府 府(官)報 資料庫(http://db2.lib.nccu.edu.tw)
  19. 臺灣大百科全書(http://nrch.culture.tw)

Cited by

  1. 20세기 한국 문화재 인식의 이데올로기적 영향과 변화 vol.53, pp.4, 2020,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