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the 19th~20th century Hat String Material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mber, Tortoise Shell, Plastics, Glass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9~20세기 갓끈 재질 조사: 호박, 대모, 플라스틱, 유리를 중심으로

  •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새롬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황민영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노수정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영민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박성희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임성희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11.16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how the materials of hatstrings of the 19th to 20th century gat, the Korean top hat for men among the collections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as transformed after port opening treaties with overseas since 187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terials of the hatstrings, amber, tortoiseshell, wood and bamboo as the traditional materials were used, and ivory, glass (soda glass, lead glass, alkali mixed glass) and plastics (cellulose nitrate, phenol-formaldehyde, polystyrene, acryl) were newly used for the hatstrings. Bamboo, wood and amber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Bamboo was mainly used for the pipe of hatstring and were combined with beads and central decorations of other materials. This shows the trend of bamboo hatstring according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clothing and the culture by Regent Heungseon Daewongun. Ambers were used in the central decorations and beads and the origin of ambers was baltic amber just like the amber relics found in Korea. Compositions of glass were soda glass and alkali mixed glass which were excavated or handed down in Korea from ancient times to Joseon dynasty. But in the case of lead glass, Na2O was detected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new type lead glass for crafts which came from overseas after port opening since 1876 because it showed the characteristic that it deviates from the lead glass component found in Korea. Plastics such as cellulose nitrate and phenol-formaldehyde were used as new synthetic materials to replace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tortoiseshell, amber, and coral as in the West. Cracks, crazing, crumbly and yellowing of cellulose nitrate of hatstrings were observed by deterioration. The survey of the materials of the 19th to 20th century hatstrings among the collections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howed that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such as glass and plastics were used to replace natural materials such as tortoiseshell and amber along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after port opening since 1876.

갓끈은 조선시대 남성용 모자인 갓을 고정하는 실용적인 면과 함께 사용하는 재료의 다양화에 따라 신분을 나타내는 장식적인 구실도 하여, 금, 은, 옥, 마노, 호박, 명박, 산호, 청금석, 수정 등 다양한 고급 재료가 사용되어 왔다. 19세기 말 개항과 함께 근현대로 넘어오면서 갓끈의 재질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중 19~20세기 갓끈에 대해 재질을 조사하였다. 갓끈의 재질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재질로는 호박, 대모, 나무, 대나무가 사용되었으며, 상아, 유리(소다유리, 납유리, 알칼리혼합유리)와 19세기 이후 발명된 신소재인 플라스틱(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페놀-포름알데히드, 폴리스티렌, 아크릴)이 갓끈 장식에 새롭게 사용되었다. 갓끈의 중앙 장식, 구슬, 대롱에 사용된 재료는 대모가 가장 많이 차지하며, 대나무, 나무, 호박 순으로 전통 재료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대나무는 대롱으로 사용하여 다른 재질의 중앙 장식과 구슬을 조합한 갓끈이 많아, 흥선대원군 집정시 의관과 문물의 간소화시책에 따른 죽영이 유행을 보여주고 있다. 호박은 갓끈의 중앙 장식과 구슬에 사용되었으며, 산지는 한국에서 발견되고 있는 호박 유물과 마찬가지로 유럽의 발틱 호박으로 동정되었다. 갓끈에 사용된 유리는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에서 출토되거나 전승되어온 소다유리나 알칼리혼합유리도 사용되었지만, 납유리에서는 Na2O가 검출되어 한국에서 발견되는 납유리 성분에서 벗어난 특징을 보여주어, 개항 후 해외에서 들어온 새로운 공예용 유리로 추정된다.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나 페놀-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플라스틱은 서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통재료인 대모, 호박, 산호 등을 대체하는 새로운 합성재료로써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는 열화에 의해 균열과 미세 균열, 부서짐과 황변이 관찰되고 있었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9~20세기 갓끈 재질에 대한 조사를 통해, 개항이후 전통적인 재료의 사용과 함께, 대모나 호박과 같은 천연재료를 대체하기 위해 유리와 플라스틱과 같은 신소재의 도입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經國大典 禮典 儀章
  2. 經國大典 工典 京工匠, 外工匠
  3. 大典後續錄 禮典 禁制
  4. 世宗實錄 世宗 24年 9月 25日
  5. 中宗實錄 中宗 9年 6月 25日
  6. 燕山君日記 燕山 8年 6月 8日
  7. 燕山君日記 燕山 6年 1月 20日
  8. 正祖實錄 正祖 15年 4月 18日
  9. 李圭景, 1834,琉璃五洲書種博物攷辨
  10. 강순제, 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강순제, 갓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강순제, 1977, 한국 입제의 변천에 관한 연구 복식, 1, pp.85-100
  13. 강순제, 1997, 우리나라 관모의 변천 한국복식 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pp.206-217
  14. 강형태, 양필승, 허우영, 조남철, 2007, 화유옹주묘 출토 녹유리장경각병(綠琉璃長頸角甁) - 보존과 분석 - 고문화, 70(12), pp.5-15
  15. 강형태, 조남철, 한민수, 김우현, 홍지윤, 2009, 은평 뉴타운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보존과학회지, 25, pp.335-345
  16. 국립민속박물관, 2011, 머리에서 발끝까지, 모자와 신발 특별전, 국립민속박물관
  17. 김규호, 2001,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나영, 2013, 三國時代 알칼리 유리구슬의 化學的 特性 考察,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순영, 2014,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 갓의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 64, pp.176-191
  20. 김영혜, 1988, 제주도의 관모공예에 관한 연구 : 말총재료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효윤, 김민지, 윤지현, 김규호, 201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리구슬발 분석연구 고궁문화, 10, pp.29-43
  22. 박종서, 임유진, 2011, 산지별 호박(amber)의 IR 및 py/GC/MS 특성 분석 분석과학, 57, pp.256-265
  23. 박형박, 2006, 조선시대 입(흑립)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서정원, 2003, 老乞大 刊本들을 통해본 14-18세기의 복식관련 용어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미현, 추원교, 2001, 조선시대 입제(笠制)의 형성과정과 제작방법 연구 : '갓'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4, pp.59-81
  26. 이은희, 1986, 조선조 흑립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경희, 2001,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문화재청
  28. 장숙환, 2009, 조선후기 입영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 pp.1-16
  29. 전우용, 2006, 서울이야기 22 - 파리국(玻璃局) 한국역사연구회 (http://www.koreanhistory.org/)
  30. 정광용, 강형태, 고민정, 김화정, 2011, 영동 법화리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토광묘 6호 및 8호 보존과학회지, 27, pp.243-250
  31. 함철희, 강소영, 황진주, 2009, 낙산사 출토 호박사리호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연구, 30, pp.21-29
  32. 함철희, 강소영, 2013, 금산사 후령통(候鈴筒) 내 발견 호박유물의 과학적 분석과 보존처리 문화재, 46(4), pp.78-89
  33. 降幡順子, 佐藤昌憲, 2010, キトラ古墳出土琥珀玉の保存処理 奈良文化財研究所紀要, pp.22-23
  34. 藤永太一郎, 竹中亨, 室賀照子, 1976, 外国産及び本邦産コハクの産地分析 分析化学, 25, pp.795-799
  35. 植田直見, 2014, 高分子有機化合物で構成された文化財の劣化機構の解明, 科学研究費助成事業 硏究成果報告書, 課題番號 24650593
  36. 许晓东, 2011, 中国古代琥珀艺术, 紫禁城出版社
  37. Charles Selwitz, 1988, Cellulose Nitrate in Conservatio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38. Dieter Naumann, 2000, Infrared Spectroscopy in Microbiology, Encyclopedia of Analytical Chemistry, R. A. Meyers ed., John Wiley & Sons Ltd., pp.1-29
  39. Edgard O. Espinoza, Mary-Jacque Mann, 1991, Identification Guide for Ivory and Ivory Substitutes, World Wildlife Fund & the Conservation Foundation, TRAFFIC
  40. Gretchen Louise Shearer, 1989, An evaluation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art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London, Doctoral thesis
  41. Gordon Turner-Walker, Bi-Yan Xu, 2014, Identification of Animal Hard Tissues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Preprints ICOM-CC 17th Triennial conference, Janet Bridgland ed.,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42. Janet Waddington, 2011, Identification and Care of Amber, Conserve O Gram, 11/17, pp.1-5
  43. Jeff Maish, Herant Khanjian, Michael Schilling, Analysis of Selected Ambers from the Collections of the J. Paul Getty Museum, ANCIENT CARVED AMBERS IN THE J. PAUL GETTY MUSEUM (http://museumcatalogues.getty.edu/amber/ contents/)
  44. Jongseo Park, Eunyoung Yun, Hyungtae Kang, Jooyoung Ahn, Gyuho Kim, 2016, IR and py/GC/MS examination of amber relics excavated from 6th century royal tomb in Korean Peninsula,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165, pp.114-119 https://doi.org/10.1016/j.saa.2016.04.015
  45. Julie A. Reilly, 1991, Celluloid Objects: Their Chemistry and Preserv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30, pp.145-162 https://doi.org/10.2307/3179527
  46. Megan E. Springate, 1997, Cellulose Nitrate Plastic (Celluloid) in Archaeological Assemblages: Identification and Care, National Historical Archaelogy. 26, pp.63-72
  47. Michele R. Derrick, Dusan Stulik, James M. Landry, 1999, Cellulose Nitrate (11.8% N), Infrared spectroscopy in conservation science,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p.190
  48. Rao ZhiFan, Dong Kun, Yang XiaoYun, Lin JinChang, Cui XiaoYing, Zhou RongFeng, Deng Qing, 2013, Natural amber, copal resin and colophony investigated by UV-VIS, infrared and Raman spectrum, Science China-Physics, Mechanics & Astronomy, 56, pp.1598-1602 https://doi.org/10.1007/s11433-013-5144-z
  49. Thomas Hainschwang, Laurence Leggio, 2006, The Characterization of Tortoise Shell and Its Imitations, GEMS & GEMOLOGY, 42, pp.36-52 https://doi.org/10.5741/GEMS.42.1.36
  50. Sharon Black, 1990, An Introduction to Plastics and Rubbers in Collections, Studies in Conservation, 35, pp.5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