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ission-oriented Command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임무형 지휘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황성훈 (대전대학교 행정대학원 군사학과)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oriented Command, organization efficiency, organization culture of 626 field officers in JFMU. Firstly. the study found that decision m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oriented command and organization efficiency had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Planning and trust lead to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 significance in self decision. Secondly, mission-oriented command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rganization culture and organization culture has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ly, mission-oriented command has some effect which derives from its impact on organization efficiency that also effects rational culture and rank hierarchy culture. These study results suggest different measures in terms of practice and policy. Firstly.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precise communication will lead to job satisfaction without unnecessary overload of communication. Also. we have rationale culture, agreement culture and rank hierarchy culture forming our organization culture. There is a need to apply elements of mission-oriented command depending on the types of organization culture. Secondly, to maximiz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mission-oriented command, we have to strengthen the rationale and rank hierarchy cultures and especially introduce development culture which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규철.오영호(2017), 외식서비스산업에서 조직문화의 매개역할을 통한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국융합학회지, 8(7), pp.245-251.
  2. 김문겸(2018), 임무형 지휘 실천을 위한 권한위임 리더십, 시스마프레스.
  3. 김문겸(2015), 임무형지휘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육군을대상으로 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보경.김정식(2012),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경영컨설팅연구 12(2), pp.1-33.
  5. 김석봉(2012), 경찰조직의 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성필.이민순,(2011), 광고대행사 종사원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pp.403-417 https://doi.org/10.5392/JKCA.2011.11.3.403
  7. 인수.허찬영(2017), 군 조직에 있어서 임무형 지휘가 부하의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pp. 187-213.
  8. 김찬선(2014), 시큐리티조직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 및 조직 애착도의 관계, 융합보안논문지, 14(1). pp.33-41.
  9. 김학범(2013), 조직문화가 민간경비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2(2), pp.80-110.
  10. 김현섭(2013), 군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류장헌.신형덕(2011), 유연한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인지된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48(2), pp.213-242.
  12. 박유찬(2012), 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교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천오(2013), 조직학의 주요이론 : 이요인 이론, 법문사.
  14. 이기용(2017), 초등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국교원교육연구, 34(4), pp.1-22.
  15. 오 숙(2007), 교사가 지각한 학교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 정도와 조직 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동수(2015), 신입사원 조직사회화 과정의 부적응과 정서적 이탈: A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재형.김홍백.김상태(2016), 스키지도자들의 조직문화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조직 유효성의 관계, 한국코치능력개발원 1892), pp. 67-75.
  18. 이춘우(2014), 한국기벙의 조직문화: 조직 문화적 역량 관점과 공유가치, 인사조직연구, pp.39-93.
  19. 이학식.임지훈(2013),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서울, 대한민국.
  20. 송영호(2012),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문화, 의사소통, 임파워먼트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정인승(1989). 학교조직내의 의사소통과 조직 효과성의 관계. 공주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한용(2013), 임무형 지휘와 통제형 지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대한민국.
  23. 조태명.김성종(2015), 군 조직에 있어 임무형 지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중심, 정책개발연구, pp.107-131.
  24. 조태명(2016), 군 조직문화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조철호(2014), SPSS/AMOS 구조방정식모형 논문통계분석, 청람, 서울, 대한민국.
  26. 추재엽(2017), 조직문화와 조직 공정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McGregor, D.(1972), Leadership and motivation, 4th ed., Cambridge and London.
  28. Guzzo, R. A., P. R., Yost, R. J., Campbell and G. P., Shea(1993), Potency in Groups: Articulating a Construct,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32, No. 1, pp. 87-106. https://doi.org/10.1111/j.2044-8309.1993.tb00987.x
  29. Parsons, T.(1977), Social systim and the Evalution of Action Theory, New York; Free Press.
  30. Spreitzer(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pp. 1442-1465 Steers, R.M.(1997), https://doi.org/10.2307/256865
  31. Thomas, K. & Velthouse, B.(1990),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a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5, p. 666-681.
  32. Quinn, R. E. and McGrath, M. R.(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Frost. Peter. et al. (eds.)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Calif : Sage, 315-334.
  33. Widder.(2002), Widder, W.(2002), Auftragstaktik and innere Fuhrunf: Tademarks of German Leadership, Military Review, September-October, pp.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