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rapeutic Singing on Speech Production Parameter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Case Studies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산출 기능 향상 사례

  • Kim, Ju H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Soo Ji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김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peech intelligibility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who participated in a therapeutic singing-based intervention. Three patients received a total of twelve 30-minute individual sessions.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steps: movements for relaxing breathing muscles, vocalization for increasing the range of articulatory movements, and therapeutic singin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speech intelligibility, the voice quality parameters, diadochokinesis (DDK) and the quadrangle vowel space area (VSA) were measured at pre- and posttest. The recording of what each patient read a written paragraph, which were transcribed by blinded assessor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l of the pati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voice quality, the rate of repetitive syllable production measured by DDK, and the articulatory working space measured by VSA. Along with these measured changes, increases in positive mood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reported by the patients support that the therapeutic singing-based intervention could induce meaningful changes in terms of speech intelligibility from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Give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mall sample size, suggestions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세 명의 두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말산출 관련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변화를 관찰 기술한 사전-사후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2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을 위한 신체움직임,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확장 및 성대이완을 위한 발성훈련과 치료적 노래부르기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에 따른 대상자들의 말산출 관련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의 질, 길항반복운동속도(diadochokinesis, DDK),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 변화 등의 음향학적 분석과 <산책>문단 읽기 과제 시의 청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시의 관찰 및 사전 사후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정서적 변화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재 과정에서 모든 대상자의 재활동기 및 음성 사용에 대한 긍정적 변화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음성의 질, DDK에 변화가 있었으며, VSA의 확대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두경부암 환자들의 음성 기능 및 잔존하는 조음기관 운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