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물과 경계만들기로서 구제역 간이진단키트: 국가기술중심주의와 분권주의의 충돌

The FMD Diagnostic Kit as a Boundary Object and Boundary Making: Conflict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State-centered and Decentralized Sociotechnical Orders

  • 김기흥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투고 : 2018.03.23
  • 심사 : 2018.07.23
  • 발행 : 2018.07.31

초록

이 글은 지난 2010년-2011년 사이에 한국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었던 구제역의 확산과정에서 질병진단방식을 둘러싼 논쟁에 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다. 당시 구제역 방역과 질병진단 방식을 둘러싸고 다양한 사회집단들 사이에서 치열한 논쟁이 있었으며 그 중심에는 휴대용 항체/항원 간이진단키트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항체/항원 간이진단키트의 효용성으로 부터 사용권한까지 논쟁은 구제역 확산기간 동안 지속되었으며 특히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방역당국과 지방정부와 시민단체들은 이 간이진단키트의 사용권과 병성감정권한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이게 된다. 이 논문은 항체/항원 간이진단키트를 둘러싼 의미부여방식과 기술적인 판단에 대한 각기 다른 해석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경계물(boundary objects)"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특히 경계물의 구성방식과 각기 다른 사회집단이 이 경계물을 포함하거나 배제하는 과정을 경계만들기(boundary making)로 해석하면서 경계물과 경계만들기 과정의 상호작용과 협상과정을 추적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의학기술적 대상물인 간이진단키트가 경계물로 구성될 뿐 아니라 이를 둘러싼 사회집단의 경계만들기는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공구성의 과정이라는 것을 보이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discuss about a debate on controlling and handling rights of diagnostic instruments for the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FMD) in South Korea between 2010 and 2011. The epidemic of FMD caused catastrophic shockwave to the whole Korean society and there was fierce debate what was the best diagnostic tool for the disease and who owned the controlling power. The central government insisted to have the power of controlling the diagnostic tool to maintain the nation-centered disease control while local governments and civil organisations attempted to take over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diagnostic tools.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boundary objects which was suggested by an American STS academic, Susan Leigh Star and her colleagues. The boundary object could be the useful concept for capturing the whol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imposing meanings and social orders in the diagnostic tool, called the portable antibody/antigen diagnostic kit. The constructing process of this boundary object must be understood with relation to boundary making activities between different social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2011), 구제역 백서 - 모두의 아픔을 품고 희망의 씨앗을 심다,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
  2. 경상북도 (2011), 2010-2011 구제역 백서, 경상북도.
  3. 김기흥 (2010), 광우병 논쟁, 해나무.
  4. 김기흥 (2013), 구제역을 둘러싼 과학적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영국과 한국의 사례비교, 임경순.김춘식.송성수 편,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197-223쪽.
  5. 김동광 (2011), 우리에게 구제역은 무엇인가? - 국가주도의 살처분 정책과 그 함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 13-40쪽.
  6. 김민정 (2011), 가축의 생산방식과 전염병, 한국환경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 4: 1-23쪽.
  7. 김정수 (2011), 구제역 정책실패로 인한 환경문제와 시민과학, ECO, 15(1): 85-119쪽.
  8. 김상현 (2018), 박정희 정권시기 저항세력의 사회기술적 상상, 김태호 외, 과학대통령 박정희 신화를 넘어 : 과학과 권력, 그리고 국가, 역사비평사, 340-377쪽.
  9. 농림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2003), 구제역 백서, 농림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10. 매일신문 (2010), 전염원인, 혹시 야생 멧돼지?, 매일신문, 2010. 12. 6.
  11. 박상표. 조홍준 (2010), 2009 신종플루의 위험성과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적 평가, 비판사회정책, 제30호 : 7-48쪽.
  12. 박희제 (2009),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대중의 위험인식의 합리성: 대중의 과학이해 (PUS)관점, 현상과 인식, 33(4): 91-116쪽.
  13. 박희제. 김은성. 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14(2): 1-47쪽.
  14. 안동시 (2011), 구제역, 기록으로 남기자, 경상북도 안동시.
  15. 영주시 (2011), 구제역 백서, 2010-2011, 경상북도 영주시.
  16. 우즈, 아비가일 (2011), 인간이 만든 질병 구제역, 강병철 역, 삶과 지식 [원문; Woods, Abigail, 2004, A Manufactured Plague - The History of Foot and Mouth Disease in Britain. London: Earthscan].
  17. 우희종 (2011), 구제역으로 본 생명인식: 방역대책으로 나타나는 신자유주의, 환경사회학회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공동심포지엄: 구제역을 통해 본 자본주의 시대의 환경과 생명, 24-36쪽.
  18. 이민규. 이예리 (2012), 국내신문의 가축전염병 위험보도에 대한 프레임연구, 언론과학연구, 12(2): 378-414쪽.
  19. 이수철 (2012), 구제역 담론 형성과 전파를 통해 본 한국 축산정책의 과제, 한국위기관리논집, 8(2): 90-107쪽.
  20. 이춘석 (2011a), 구제역 Virus 유전자검사결과 베트남과 관계없어 축산농에 책임전가, 알고도 은폐의혹, 이춘석 의원실 보도자료, 2011. 1. 26.
  21. 이춘석 (2011b) 베트남 유입, 국민기만하는 실험결과 발표, 이춘석 의원실 보도자료, 2011. 2. 14.
  22. 이춘석 (2011c), 해명이 증폭시킨 의혹, 베트남으로 몰기 위해 실험결과 끼워맞춰, 이춘석 의원실 보도자료, 2011. 2. 15.
  23. 이춘석 (2011d), 98%일치라고? '안동-베트남' 일치율 89%, 근접순위로도 '141'번째...국제표준연구소 발표, 이춘석 의원실 보도자료, 2011. 4. 19.
  24. 전은희. 천명선 (2012), 구제역 관련자들의 체험과 그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2010년-2011년 Y시의 경우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2(2): 175-232쪽.
  25. 정용인 (2017), 검역당국, 구제역 토착화 쉬쉬 숨기고 있나, 경향신문, 2017. 3. 19.
  26. 조아라 (2013), 한국 구제역사태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27. 조아라. 강윤재 (2014), 불확실성을 통해 본 위험거버넌스의 한계와 개선점 - 2010년 구제역사태를 중심으로, ECO, 18(1): 187-234쪽.
  28. 천명선 (2012), 농촌문제로서 가축전염병-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구제역, 농업사연구, 11(1): 1-23쪽.
  29. 충청남도 (2011), 구제역방역백서, 충청남도.
  30. 파주시 (2011), 매뉴얼도 알려주지 않은 구제역 희망백서, 경기도 파주시.
  31. 프레시안 (2011), 소 잃어도 외양간 안 고쳐 폭삭 주저 앉았다, 프레시안, 2011. 3. 3.
  3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2010-2011 구제역 백서 - 구제역의 발생, 확산 원인 및 재발 방지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3. 한승주. 정주용 (2011), 위기관리시스템의 조직화된 무질서의 원인에 대한 연구: 구제역 재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2): 35-66쪽.
  34. 홍성군 (2011), 구제역백서-5개월간의 한마음된 방역현장기록, 홍성군.
  35. Barnes B (1988), The Nature of Power, 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6. Bloor D (1997), Wittgenstein, Rules and Institutions, London: Routledge.
  37. Bloor D (2001), "What is a social construct?", Facta Philosophica 3: pp. 141-156.
  38. Barnes B, Bloor D and Henry J (1996), Scientific Knowledge: A Sociological Analysis,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39. Casadevall, A and Pirofski, L (2014), "Microbiology: Ditch the term pathogen", Nature 516 (7530): pp. 165-166. https://doi.org/10.1038/516165a
  40. Clarke AE (1999), "Social worlds/arenas theory as organizational theory" In Maines DR (ed.), Social Organization and Social Process: Essays in Honor of Anselm Strauss, New York: Aldine de Gruyter, pp. 119-158.
  41. Clarke AE and Star SL (2008), "Social worlds/arenas as a theory-methods package" In Hackett E, Amsterdamska O, Lynch M and Wacjman J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2nd ed), Cambridge MA: MIT Press, pp. 113-137.
  42. Cooter, R & Sturdy, S (eds) (1999), War, Medicine and Modernity, London: Sutton Publishing.
  43. Crawford, DH (2007), Deadly Companions - How Microbes Shaped Our Hist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4. Griesemer JR (2015), "Sharing spaces, crossing boundaries", In Bowker GC, Timmermans S, Clarke AE and Balka E (eds), Boundary Objects and Beyond, Cambridge MA: MIT Press, pp. 201-218.
  45. Hesse M (1980), "Duhem, Quine and new empiricism", In Morick H (ed.), Challenges to Empiricism,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46. Jasanoff S (ed.) (2004), States of Knowledge: The Coproduction of Science and Social Order, London: Routledge.
  47. Jasanoff S and Kim S-H (eds) (2016), Dreamscape of Modernity: Sociotechnological Imaginaries and the Fabrication of Power,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48. Jordanova, L (2004), "Social construction of medical knowedge", in Huisman, F & Warner JH (eds), Locating Medical Histor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338-363.
  49. Kim, KH (2007),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London: Routeldge.
  50. Kim, SH (2016), "Social movements and contested sociotechnical imaginaries in South Korea", In Jasanoff S and Kim SH (eds), Dreamscape of Modernity: Sociotechnical Imaginaries and the Fabrication of Power,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pp. 152-173.
  51. Kuhn T (1962 [199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Third E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2. Latour B (1999), Pandora's Hope: Essays on the Reality of Sc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3. Rosenberg C and Golden J (eds) (1992), Framing Disease: Studies in Cultural History,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
  54. Quine WVO (1953),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Nine Logico- Philosophical Essay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5. Smith BC (2015), "So boundary as not to be an object at all", In Bowker GC, Timmermans S, Clarke AE and Balka E (eds), Boundary Objects and Beyond, Cambridge MA: MIT Press, pp. 219-227.
  56. Star SL and Griesemer JR (1989), "Institutional ecology, 'translations' and boundary objects: Amateurs and professionals in Berkeley's Museum of Vertebrate Zoology, 1907-39", Social Studies of Science, 19: pp. 387-420. https://doi.org/10.1177/030631289019003001
  57. Star SL (2015), "Revisiting Ecologies of Knowledge: Work and Polit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Bowker GC, Timmermans S, Clarke AE and Balka E (eds) Boundary Objects and Beyond, Cambridge MA: MIT Press, pp. 13-46.
  58. Strauss AL (1978), "A social world perspective" In Denzin N (ed.) Studies in Symbolic Interaction1, Greenwich CT: JAI Press, pp. 171-190.
  59. Sturdy S (2013), Medicine, Health and the Public Sphere in Britain, 1600-2000, London: Routledge.
  60. Timmermans, S (2015), "Introduction", In Bowker GC, Timmermans S, Clarke AE and Balka E (eds), Boundary Objects and Beyond, Cambridge MA: MIT Press, pp. 1-9.
  61. Tovey P and Adams J (2001), "Primary care as intersecting social worlds", Social Science & Medicine, 52(5): pp. 695-706.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179-9
  62. Van den Belt, H (1997), Spirochaetes, Serology and Salvarsan - Ludwik Fleck and the Construction of Medical Knowedge about Syphilis, Nijmegen: Catholic University of Nijme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