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근로자의 식사 관련 시간 분석: 다인가구와의 비교 및 성별·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Meal-related time use of employees living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A comparison focused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 김유경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 투고 : 2018.05.31
  • 심사 : 2018.07.27
  • 발행 : 2018.08.31

초록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eal-related time use among employees living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by conducting a comparison focused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Among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during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19,692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ne-person households had shorter meal-related time use than did the multi-person households, except for the time spent having snacks and beverages. Second, meal-related time use was generally longer in non-working days than in workdays. Third, gender differences in meal-related time use were observed, with the more significant ones being the differences in time devoted to meal preparation and dishwashing. Fourth, in both the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women spent a longer amount of time preparing meals and washing dishes than did men, but this difference was greater in multi-person households. Fifth, old individuals spend a longer time preparing meals and washing dishes than did young individuals. Policies must be enfor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s in one-person households. Such households should also be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y and regular meals. Another essential requirement of policy is the provis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both the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유진.차승은(2013). 건강가정론. 서울:공동체.
  2.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6.
  3.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사회포럼, 4, 47-56.
  4. 권주안.이유진.최혜경(2007).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 및 공급 활성화 방안. 주택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4), 1-91.
  5. 권중돈.엄태영.김유진(2012).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 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1), 89-114.
  6. 김기태.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53-168.
  7. 김민주(2018). 취업 1인 가구의 생활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화(2017). 한국 직장인의 식사구조 특성: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시월.조향숙(2015). 중고령 1인가구의 소비패턴과 삶의 만족도. Financial Planning Review, 8(3), 89-116.
  10. 김영주(2009).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6(3), 333-344.
  11. 김은경.조춘한(2015).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시대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1인 가구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e-비즈니스연구, 16(4), 231-263.
  12.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14. 남소영.이수경(2018). 성.연령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상태 차이분석. 2018 가정학분야 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
  15. 동아일보(2018.3.14). 혼밥-혼영 꺼려.. 돈 덜 쓰는 중장년 1인가구 http://news.donga.com/3/all/20180313/89085778/1.
  16. 박수연.김영주(2013). 1인가구의 주거환경 및 주거서비스 요구 분석. -2000년 이후 선행연구결과를 중심으로. 2013 한국주거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17. 박재홍.유소이(2016).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 및 식생활 만족도 분석. 농업경제연구, 57(2), 103-138.
  18. 박지혜.이순학.한승희(2015). 1인가구의 문화소비지출행태 분석. 산업연구원.
  19. 박현우.나건(2015). 1인가구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외식업 서비스 방향 연구: 2030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3), 697-704.
  20. 배건이.정극원(2014). 1인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64, 157-176.
  21. 서경현.김영숙(2003).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노인복지연구, 21, 7-26.
  22. 서지원.양진운(2017a).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5(3), 451-463.
  23. 서지원.양진운(2017b). 중년 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77-95.
  24. 설동필.우윤석(2012).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의 효율성. 한국정책연구, 12(4), 217-242.
  25.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 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26.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27. 신미림.남진(2011).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46(4), 131-145.
  28. 아시아경제(2018.1.1). 4집 중 1집 '1인가구'... '복지.고용안정 정책 확대해야'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0111002712885.
  29. 안기덕(2012).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생애사 연구: 사회적 배제와 행위 주체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2), 447-465.
  30. 여윤경(2003).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12.
  31. 여윤경.양세정(2001).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분석. 소비자학연구, 12(4), 65-81.
  32. 염혜실.권오정(2014).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5(6), 123-132.
  33. 오현희(2017). 1인가구의 인구.경제적 특징 분석. NABO 경제동향 & 이슈, 62, 38-47.
  34.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 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35. 유병규.조호정.전선형(2010). 국내 1인가구의 7개 구조적 특징: 1인가구의 저소득.고령화심화. 경제주평, 10(4), 1-14.
  36. 윤덕환.채선애.송으뜸(2015). 2015 1인가구 의식주 관련 조사(2014 vs. 2015 부분 Tracking Survey). 리서치보고서 2015년 3호, 206-249. (주)마크로밀엠브레인.
  37. 윤소영(2017). 노년 1인가구의 여가적 삶과 행복. 2017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38. 이계임.황윤재.반현정(2015).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9. 이동훈(2012). 1인가구를 위한 소형임대주택 공급확대 방안. SDI 정책리포트, 109, 1-24.
  40. 이명숙(2004).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16(1), 17-26.
  41. 이성림(2014). 가구 형태가 식품 산업별 음식물비 소비지출패턴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7(3), 85-104.
  42. 이성림.김기옥(2009).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1(2), 85-101.
  43. 이영미(2012).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사구조 변화 및 전통 음식문화 측면의 학교급식 식단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재수.양재섭((2013). 서울의 1인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9(3), 181-193.
  45.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여성과 남성의 교제활동 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1-24.
  46. 이현숙(2011). 스코틀랜드와 한국의 가족수발제도 비교연구: 에딘버러시와 수원시의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4), 345-381.
  47. 이희연.노승철.최은영(2011).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지, 46(4), 481-501.
  48. 장용현.이보순.이종호(2016). 1인가구 형태의 식생활유형이 외식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2(5), 25-36.
  49. 전상민(2013). 단독가구의 소비지출패턴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44(3), 21-43.
  50. 정운영.정세은(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 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51. 조명은(2002). 독신 가구의 주거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19-227.
  52. 조성철(2012). 수도권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과 주택공급 분석.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조은영.조은희.김소선(2010).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421-437.
  54. 조필규(2016).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1(4), 321-331. https://doi.org/10.5720/kjcn.2016.21.4.321
  55.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4판). 서울: 신정.
  56. 차경욱(2007). 남성 일인가구 경제구조 분석: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53-269.
  57.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8. 최샛별(2014).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2), 1-24.
  59. 최승균, 박대섭, 홍완수(2012), 싱글족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행동연구: 서울 및 수도권지역 25세 이상 54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15(1), 131-153.
  60. 통계청 홈페이지 통계설명자료.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iemInputNo=0000094393723.
  61. 허윤경.심기현(2016).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식생활 태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5), 735-745.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35
  62.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 (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3. Cheng, S. L., Olsen, W., Southerton, D. & Warde, A. (2007). The changing practice of eating: Evidence from UK time diaries, 1975 and 2000.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8(1), 39-61. https://doi.org/10.1111/j.1468-4446.2007.00138.x
  64. Daniels, S., Glorieux, I., Minnen, J. & Tienoven, T. P. (2012). More than preparing a meal? Concerning the meanings of home cooking. Appetite, 58(3), 1050-1056. https://doi.org/10.1016/j.appet.2012.02.040
  65. Daniels, S., Glorieux, I., Minnen, J., Tienoven, T. P. & Weenas, D. (2014). Convenience on the menu? A typ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family food expenditures and food-related time patterns. Social Science Research, 51, 205-218.
  66. Donkin, A. J. M., Johnson, A. E., Lilley, J. M., Morgan, K., Neale, R. J., Page, R. M. & Silburn, R. L.(1998). Gender and living alone as determinan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urban Nottingham. Appetite, 30(1), 39-51. https://doi.org/10.1006/appe.1997.0110
  67. Hamrick, K., Andrews, M., Guthrie, J., Hopkins, D. & McClelland, K. (2011). How much time do Americans spend on food? Economic Information Bulletin, 86, 1-64.
  68. Mestdag, I. (2005). Dis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meal: Temporal, social and spatial destructuration. Appetite, 45(1), 62-74. https://doi.org/10.1016/j.appet.2005.03.003
  69. Pablo, M., Anju, A. & Adam, D. (2014). Time spent on home food preparation and indicators of healthy eating.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7(6), 796-802. https://doi.org/10.1016/j.amepre.2014.07.033
  70. Walde, A., Cheng, S. L., Olsen, W. & Southerton, D. (2007). Changes in the practice of ea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use. Acta Sociologica, 50(4), 363-385. https://doi.org/10.1177/0001699307083978
  71. Zick, C. D. & Stevens, R. B. (2009). Trends in Americans' food-related time use: 1975-2006. Public Health Nutrition, 13(7), 1064-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