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유진.차승은(2013). 건강가정론. 서울:공동체.
-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6.
-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사회포럼, 4, 47-56.
- 권주안.이유진.최혜경(2007).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 및 공급 활성화 방안. 주택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4), 1-91.
- 권중돈.엄태영.김유진(2012).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 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1), 89-114.
- 김기태.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53-168.
- 김민주(2018). 취업 1인 가구의 생활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소화(2017). 한국 직장인의 식사구조 특성: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시월.조향숙(2015). 중고령 1인가구의 소비패턴과 삶의 만족도. Financial Planning Review, 8(3), 89-116.
- 김영주(2009).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6(3), 333-344.
- 김은경.조춘한(2015).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시대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1인 가구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e-비즈니스연구, 16(4), 231-263.
-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 남소영.이수경(2018). 성.연령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상태 차이분석. 2018 가정학분야 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
- 동아일보(2018.3.14). 혼밥-혼영 꺼려.. 돈 덜 쓰는 중장년 1인가구 http://news.donga.com/3/all/20180313/89085778/1.
- 박수연.김영주(2013). 1인가구의 주거환경 및 주거서비스 요구 분석. -2000년 이후 선행연구결과를 중심으로. 2013 한국주거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 박재홍.유소이(2016).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 및 식생활 만족도 분석. 농업경제연구, 57(2), 103-138.
- 박지혜.이순학.한승희(2015). 1인가구의 문화소비지출행태 분석. 산업연구원.
- 박현우.나건(2015). 1인가구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외식업 서비스 방향 연구: 2030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3), 697-704.
- 배건이.정극원(2014). 1인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64, 157-176.
- 서경현.김영숙(2003).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노인복지연구, 21, 7-26.
- 서지원.양진운(2017a).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5(3), 451-463.
- 서지원.양진운(2017b). 중년 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77-95.
- 설동필.우윤석(2012).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의 효율성. 한국정책연구, 12(4), 217-242.
-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 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 신미림.남진(2011).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46(4), 131-145.
- 아시아경제(2018.1.1). 4집 중 1집 '1인가구'... '복지.고용안정 정책 확대해야'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0111002712885.
- 안기덕(2012).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생애사 연구: 사회적 배제와 행위 주체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2), 447-465.
- 여윤경(2003).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12.
- 여윤경.양세정(2001).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분석. 소비자학연구, 12(4), 65-81.
- 염혜실.권오정(2014).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5(6), 123-132.
- 오현희(2017). 1인가구의 인구.경제적 특징 분석. NABO 경제동향 & 이슈, 62, 38-47.
-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 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 유병규.조호정.전선형(2010). 국내 1인가구의 7개 구조적 특징: 1인가구의 저소득.고령화심화. 경제주평, 10(4), 1-14.
- 윤덕환.채선애.송으뜸(2015). 2015 1인가구 의식주 관련 조사(2014 vs. 2015 부분 Tracking Survey). 리서치보고서 2015년 3호, 206-249. (주)마크로밀엠브레인.
- 윤소영(2017). 노년 1인가구의 여가적 삶과 행복. 2017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 이계임.황윤재.반현정(2015).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동훈(2012). 1인가구를 위한 소형임대주택 공급확대 방안. SDI 정책리포트, 109, 1-24.
- 이명숙(2004).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16(1), 17-26.
- 이성림(2014). 가구 형태가 식품 산업별 음식물비 소비지출패턴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7(3), 85-104.
- 이성림.김기옥(2009).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1(2), 85-101.
- 이영미(2012).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사구조 변화 및 전통 음식문화 측면의 학교급식 식단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재수.양재섭((2013). 서울의 1인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9(3), 181-193.
-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여성과 남성의 교제활동 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1-24.
- 이현숙(2011). 스코틀랜드와 한국의 가족수발제도 비교연구: 에딘버러시와 수원시의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4), 345-381.
- 이희연.노승철.최은영(2011).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지, 46(4), 481-501.
- 장용현.이보순.이종호(2016). 1인가구 형태의 식생활유형이 외식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2(5), 25-36.
- 전상민(2013). 단독가구의 소비지출패턴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44(3), 21-43.
- 정운영.정세은(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 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 조명은(2002). 독신 가구의 주거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19-227.
- 조성철(2012). 수도권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과 주택공급 분석.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은영.조은희.김소선(2010).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421-437.
- 조필규(2016).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1(4), 321-331. https://doi.org/10.5720/kjcn.2016.21.4.321
-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4판). 서울: 신정.
- 차경욱(2007). 남성 일인가구 경제구조 분석: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53-269.
-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최샛별(2014).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2), 1-24.
- 최승균, 박대섭, 홍완수(2012), 싱글족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행동연구: 서울 및 수도권지역 25세 이상 54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15(1), 131-153.
- 통계청 홈페이지 통계설명자료.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iemInputNo=0000094393723.
- 허윤경.심기현(2016).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식생활 태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5), 735-745.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35
-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 (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Cheng, S. L., Olsen, W., Southerton, D. & Warde, A. (2007). The changing practice of eating: Evidence from UK time diaries, 1975 and 2000.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8(1), 39-61. https://doi.org/10.1111/j.1468-4446.2007.00138.x
- Daniels, S., Glorieux, I., Minnen, J. & Tienoven, T. P. (2012). More than preparing a meal? Concerning the meanings of home cooking. Appetite, 58(3), 1050-1056. https://doi.org/10.1016/j.appet.2012.02.040
- Daniels, S., Glorieux, I., Minnen, J., Tienoven, T. P. & Weenas, D. (2014). Convenience on the menu? A typ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family food expenditures and food-related time patterns. Social Science Research, 51, 205-218.
- Donkin, A. J. M., Johnson, A. E., Lilley, J. M., Morgan, K., Neale, R. J., Page, R. M. & Silburn, R. L.(1998). Gender and living alone as determinan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urban Nottingham. Appetite, 30(1), 39-51. https://doi.org/10.1006/appe.1997.0110
- Hamrick, K., Andrews, M., Guthrie, J., Hopkins, D. & McClelland, K. (2011). How much time do Americans spend on food? Economic Information Bulletin, 86, 1-64.
- Mestdag, I. (2005). Dis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meal: Temporal, social and spatial destructuration. Appetite, 45(1), 62-74. https://doi.org/10.1016/j.appet.2005.03.003
- Pablo, M., Anju, A. & Adam, D. (2014). Time spent on home food preparation and indicators of healthy eating.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7(6), 796-802. https://doi.org/10.1016/j.amepre.2014.07.033
- Walde, A., Cheng, S. L., Olsen, W. & Southerton, D. (2007). Changes in the practice of ea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use. Acta Sociologica, 50(4), 363-385. https://doi.org/10.1177/0001699307083978
- Zick, C. D. & Stevens, R. B. (2009). Trends in Americans' food-related time use: 1975-2006. Public Health Nutrition, 13(7), 1064-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