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e Han-gi's Reflection on Relationalities in Existence

최한기의 존재론적 관계성 성찰

  • Rhee, Myung-Su (Korean Cultural Institut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10.09
  • Accepted : 2018.11.08
  • Published : 2018.11.15

Abstract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East Asia, especially Korea, was oppressed externally by the imperialism of Japan and others while internally long-lasting political convention like in-law government was driving the country into troubles at home and abroad. Witnessing such a situation and building up scholarly capability through reading over nearly all spheres, a Confucian philosopher, Ch'oe Han-gi (崔漢綺, 1803-1877), philosophized about the clue to the solution of such a choking phenomenon. Ch'oe believed that there was movement, ki (matter, material force, energy) of revolving transformation inherent in all things, people, or objects. Grasping even the principle and order of existence inherent in things from the viewpoint of ki, he tried to change the traditional theory on the law of existence of things that there existed an ontological reason lacking in motility, which was more dominant than anything existing in the universe and which ruled over the world. From this, he elucidated that the Way, an identity that rules over all affairs and things, was not simply one but diverse. This means, on one hand, that he tentatively accepted the relativity of things. On the other hand, he also taught us "oneness in all things" in which all including human beings exist in close connection to each other transcending the relativity or "agreement" in which they exist in harmony as one and "unity" in which they are united into one.

19세기 중엽 이후 동아시아, 그 가운데 특히 한국은 대외적으로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에 압박을 받았고, 대내적으로는 오랜 정치적 구태 현상, 예를 들어 세도정치와 같은 진부한 상황 때문에, 이른바 내우외환 상태에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목격하고 세계정세에 관하여, 거의 전 영역에 걸쳐 독서를 통해 학문적 역량을 쌓고 있었던 유가철학자 최한기는, 이 같은 막힘 현상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철학화하였다. 최한기는 만물이나 만사를 운동변화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사람이나 사물에 내재한 운동, 변화의 에너지, 운화기가 있다고 믿었다. 사물에 내재하는 존재의 원리, 질서까지도 '기'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이전의 운동성이 결여된 존재론적 리(理)가 우주에 존재하는, 어떤 것보다 앞서 우월하게 존재하며 그것이 세상을 지배한다는 관점을 바꾸었다. 그로부터 만사만물을 지배하는 정체성으로서, 도 또한 하나가 아니라 다양함을 설파하였다. 이것은 일면 잠정적으로 사물의 상대성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 상대성을 넘어 만물이 긴밀히 연결되어 존재한다는, 만물일체, 그들이 하나로 어울려 존재한다는 '일치', '일통'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었다. 최한기는 공간에서 뿐만 아니라 시간에 있어서도 사물은 유기적으로 서로 소통하면서 존재한다고 믿었던 것인데, 그것은 그의 운화철학에 두드러진다. 그리하여 존재물들은 자기 안에서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원활한 관계성을 확보하면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