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격치' 개념의 의미화

The Conceptual Formation of 'Gyeokchi' in the Early Joseon Period

  •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투고 : 2018.06.28
  • 심사 : 2018.06.29
  • 발행 : 2018.08.15

초록

"대학" 8조목의 하나인 격물치지는 유학의 공부론이자 정치의 출발점이다. 유학의 목표는 수기안민, 내성외왕으로 집약된다. 조선 전기격치 개념은 이를 위한 학문과 위정의 시초로서의 의미가 강조된다. 이는 유학이 국가 운영의 핵심적인 가치 체계로 자리하게 되면서, 불교에 의지해 국가를 운영하던 시스템의 일대 변환과 사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예비하는 것이었다. 인륜 규범을 정하고 사회를 질서 짓는 근거로 유학이 부상하면서 유학의 경세론적 특성이 두드러진 것도 이 시기였다. 조선조 내내 "대학연의"는 제왕의 학문과 정치의 모범으로 경연에서 강론되었고, 그 출발점으로 '격치'가 논의되었다. 한편 '격치'와 관련한 다양한 해석과 논변은 경학사상사적으로 정주 성리학이 조선 성리학으로 심화되는 과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격물'과 '물격' 해석을 둘러싼 논변은 인식 주체와 대상의 문제를 넘어 리의 본질을 궁구하는 문제와 맞닿았고, 기호와 영남 유학을 가르는 분수령이 되었다. 다양한 해석과 논변에도 불구하고 앎과 실천을 통합하는 유학의 공부론은 인문학의 역할과 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시대에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장 논리에 내맡겨진 과학기술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데에 대학과 인문학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어야 하고, 학문의 궁극적인 목표를 재성찰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조금 더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Gyeokmulchiji' (格物致知), coming to knowledge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a starting point for any study and politics of Confucianism. Much emphasis was placed on the conception of 'Gyeokchi' as a root of every learning and adminstrati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Confucianism established itself as a salient value system of the government, a mighty change and paradigm shift happened in its governmental system which had depended upon Buddhism up to that time. Thus, Confucian statecraft also stood out. Daehakyeonui (大學衍義) was preached as a model of regal learning and politics in the governmental agon, and its conceptual starting point was 'Gyeokchi.'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arguments about this concept shows the process in which Zhu Xi NeoConfucianism was deepened into Neo-Confucianism of Joseon's own. This conception reached the essence of 'Li' beyond the problem of cognitive subject and object, and provided a watershed which divided Giho (畿湖) and Yeongnam (嶺南) schools. Confucian method of study, which incorporates knowledge and practice, has great implications for our times when there are many voices of concern over humanities. The enhancement of universities and humanities is much needed to adjust the direction and pace of scientific technology, which is now entirely left with the logic of market. Accordingly, it is quite urgent for us to examine our object of learning again, which should integrate 'Sugi' (修己, cultivating oneself) with 'Chi-in' (治人, governing others), and knowledge with practi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