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Han-gi's Change of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aradigm

최한기의 존재와 인식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 Rhee, Myung-Su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명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8.04.13
  • Accepted : 2017.05.07
  • Published : 2018.05.15

Abstract

The paradigm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was changed in the context of modernity in Choi Han-gi's thought, in which the resource of all things and all affairs was not li but ki and li could be guessed from ki. And there are lis in the sphere of recognition as well as in that of existence in Choi Han-gi's thought, which might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thought system such as Neo-Confutionism. li is called Yuhaenguili in his ontological theory and Chucheukuili as one epistemological part. At anyhow there are many lis, which may be approached as the meaning of mechanism, in his philosophy. Besides there are, not only ontologically but also epistemologically, energetic factors, named as Unhwaki, whch are generating, moving, changing and altering. In his Kihak as an ki categorical thought, above all one's experience is of importance. He believed moral act, for example the expose of saving mind that was called Cheukeunjisim by Mencius, could be derived from social experience or contact. And he thought that the recognition of moral act might be achieved by the action of mysterious energy names as sinki of the essence of mind. Like these aspects, all things and all ones have their active, movable, and changeable natures in the sphere of both existence and recognition in Choi Han-gi's thought. In this way he got out of the previous ideas and presented practical and modern way of life to us.

최한기의 사유에서 존재와 인식 두 측면에 걸친 패러다임이 근대성의 맥락에서 전환된다. 그에게 만사만물의 근원은 리(理)가 아니고 기(氣)이다. 그 리는 기를 미루어 헤아릴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존재론 차원에서만 있던 '리'가 최한기의 기철학에서는 인식 국면에도 있다. 존재론에 '유행의 리'가 있다면 인식 국면에는 '추측의 리'가 있다. 또한 그의 사유에서 리는 존재와 인식 모두에 걸쳐 무수히 많다. 이렇다 할 때 리는 메커니즘으로서 이치, 방식, 방법의 의미로 접근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최한기의 생각에서 만물 존재와 인식 모두에 생성, 운동, 변화의 운화기가 내재한다. 최한기의 기학에서는 '경험'이 매우 중시된다. 도덕적으로 행위할 줄 아는 것도, 예를 들어 맹자의 측은지심의 발동도 그의 사유에서는 경험, 교접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고 도덕 행위의 인식은 심체, 즉 마음의 본질인 신기에 의한 추측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면모로 최한기의 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의 문제가 대두된다. 사물의 존재의 본질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인식 과정 모두에 걸쳐 운동, 변화가 내재한다. 이런 양태로 최한기의 사유는 실학적이며 근대적인 사유로 나아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