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Interpretation of the Method of Learning Reflected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On Haeng Lok by Toe-gye

퇴계 『언행록』의 사제관계에서 탐색한 학습법과 그 현대적 이해

  • 신창호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 지준호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 이승철 (성균관대학교) ;
  • 심승우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 Received : 2018.01.05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8.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education or learning reflected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On Haeng Lok By Toe-gye and explore their relevance to modern education. By writing various works and conversing with his students, Toe-gye devoted himself in the education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principles. Specially, he taught his students based on two Confucian educative principles, namely Shim Deuk(心得) and Goong Haeng(躬行). Judging from this, Toe-gye can be seen as someone who tries to fulfill the role of teacher as dictated in the educative principles of the Confucianism. In Confucianism, teacher is responsible for forming a well-rounded view on life in student, rather than simply transmitting knowledge. As such, the teacher was supposed to find a harmonious way to create something new based on what was inherited from the past generation and try to do his best in learning new things himself and teaching his students. These Toe-gye managed to do successfully, earning his students' trust and respect. Being moved and inspired by their teacher, the students continued their intellectual pursuit. This relationship between Toe-gye and his students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method and discussed in terms of cognitive learning and adult learning. In terms of cognitive learning, the education method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is similar to potential learning, insight learning, and imitation learning. In terms of adult learning, it is similar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ve learning.!

본고는 퇴계의 "언행록"에 나타난 사제관계를 통해 퇴계가 추구했던 교육방법 또는 학습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현대 교육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퇴계는 다양한 저술과 제자 교육을 통해 전통 유학 교육에 충실하게 임했다. 특히, 심득(心得)과 궁행(躬行)으로 제자들을 일깨웠는데, 그것은 전통 유학의 교육방식에 기초하였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유학의 교육관과 교육 방식에 따라 스승으로서의 직분에 성실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학에서 스승은 단순한 지식 전수자이기보다는 인간의 전체적 삶의 문제를 고민한 전인적 교사였다. 때문에 스승은 옛것과 새것의 계승과 창조의 측면을 적절히 조화하려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와 끊임없이 배우며 가르침에 최선을 다하려는 교육자로서의 태도를 견지했다. 퇴계도 제자마다 개인에 대한 가르침에 성실하게 응대하여 학문의 과정에서 공경과 신뢰를 확보했고, 제자들 또한 그런 학문적 인격에 감화받고 스승의 학맥을 이어나갔다. 그것은 현대적 의미의 교육방법이나 학습법의 측면에서 이해하면 인지학습과 성인학습의 측면에서 대비할 수 있다. 퇴계의 사제관계에 드러난 교육방법이나 학습법은 인지학습의 측면에서는 잠재학습과 통찰학습, 그리고 모방학습과 상통하고, 성인학습의 측면에서는 경험학습과 자기주도학습, 그리고 의사소통학습의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