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theory of the Ming Dynasty in Sangchon(象村) Shin-Heum(申欽)'s Uigoakbu(擬古樂府) - Focused on 「Han-Yoga (漢鐃歌)」 18 songs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의고악부(擬古樂府) 창작에 미친 명대(明代) 문학론(文學論)의 영향 - 「한요가(漢鐃歌)」 18곡을 중심으로 -

  • Chung, Yong-gu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 정용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at Shin-Heum(申欽)'s Uigoakbu(擬古樂府) was created under the context of acceptance of the Ming Dynasty's literary theory, and searched the influence of the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前後七子)'s methodology of imitation through analysis of "Han-Yoga(漢?歌)" 18 songs. As well as Shin-Heum created unprecedented number of uigoakbu, he conducted imitation to "Han-Yoga(漢?歌)" 18 songs for the first time in the Joseon Dynasty. This was attributed to deep interest about the Ming Dynasty's literary theo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greeing to the Ming Dynasty's reactionism literary theory, he hoped to reproduce the literature of the past such as the Han(漢) Dynasty and Wei(魏) Dynasty by using methodology of imitation. So he created his works referencing the Ming Dynasty's uigoakbu in both expression and subject consciousness. This aspect is not only a basis to widen the understanding of the motive of creation and existence pattern of Shin-Heum's uigoakbu that have not been studied in enough interest, but also a case to show that the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s literary orientation and methodology of imitation were deeply accepted by the Joseon dynasty's writers.

본고는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의고악부(擬古樂府)가 조선 중기 명대(明代) 복고주의(復古主義) 문학론 수용의 맥락 하에서 창작되었음을 확인하고, "한요가" 18곡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후칠자(前後七子)가 주창한 의고적 방법론이 구체적인 작품 구현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던 정황을 살펴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에서 악부는 역대 여러 문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지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신흠은 여타 인물과 비교해볼 때 유례없이 많은 수의 의고악부를 창작하였으며, 이전까지 이루어진 바 없었던 "한요가" 18곡 전체에 대한 의작까지 수행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정력적인 의작 활동은 무엇보다도 조선 중기에 소개된 명대 문예 사조에 대한 깊은 관심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는 명대 전후칠자가 제기한 복고적 문학론에 공감을 표하며, 모의(模擬)의 방법을 통해 질박하고 진솔한 감정을 담지하고 있던 옛 한위(漢魏) 시기의 문학을 자신의 시대에 재현해 내고자 하였다. 이에 그는 표현 뿐 아니라 내용 및 주제의식에 이르기까지 전후칠자의 의고악부를 참조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구성해 냈다. 이와 같은 면모는 그간 충분한 관심 속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신흠 의고악부의 창작 동기와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근거가 됨은 물론, 전후칠자의 문학적 지향과 그들의 '모의'라는 방법론이 당대 조선 문인에게 유의미한 대상으로 인식 수용되고 있던 정황을 확인케 하는 하나의 사례가 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