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aenam Yoon's the 8th jonbu(종부) Gwangju Lee's family management in Korean letter of Joseon era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경영

  • Received : 2018.11.30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women as the subject of the family management in the 19th century cataclysm, In particular, I tried to reconstruct the specific life course of a woman who has a status as a jongbu(종부)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Hangul letter. The Haenam Yoon's the 8th jongbu(종부) Gwangju Lee attempted to find her own unique identity, not the male-centered social order she had learned. Because she had to live a life outside the traditional environment of traditional society because her husband died at the beginning of her marriage. She perceived herself as an independent subject that she had to find and maintain. When Gwangju Lee married and came to the family of Haenam Yun, the economic power of jong-ga(종가) was much inclined. This economic difficulty was caused by the conflict with the slaves and the decrease of tallage(地代) to the change of the slavery system which was the social flow at that time. And uncles of her husband's intervention made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family more difficult. She established her position as a jongbu(종부) and used the right of Adoption option(입후권) of the jongbu(종부) to establish the impoverished family. She chose adoption from distant relatives who were not children of her husband's uncles. Therefore, I was free from her husband uncle's interests. She also believ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to take control of the economic interests of her family in order to secure her authority as a jongbu(종부). She believed that she had to exercise her economic rights in order to bring slave labo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sustaining the domestic economy at the time, In the absence of her husband, she established her family in the social upheaval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ook her place as a master of a family, not just a family name.

이 글에서는 유교적 종법질서에 변화가 일어난 19세기 격변기에 가문 경영의 주체로서의 여성. 특히 문중에서 종부로서의 지위를 가진 여성의 구체적인 삶의 여정을 한글편지를 통해 재구성해 보았다.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는 혼인 초부터 남편의 부재로 전통사회의 일반적인 환경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자신이 학습 받은 남성중심의 사회적 질서가 아닌 자신만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광주이씨는 종부로서의 지위를 자신이 찾고 자신이 지킬 수밖에 없는 독립적인 주체로 자신을 인식한 것이다. 광주이씨가 종부가 되어 해남윤씨가로 왔을 때 종가의 가세는 많이 기울어져 있었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은 그 당시 사회적 흐름인 노비제도의 변화로 인한 노주(奴主) 관계의 갈등과 수세의 감소 때문이었다. 그리고 시숙들의 간섭은 종가의 경제적 형편을 더욱 어렵게 했다. 광주이씨는 종가에서 종부로서의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피폐해진 종가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지친들의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으로 종부의 입후권을 이용하였다. 그 때까지 해남윤씨가에서 이루어진 입양은 모두 지친간에 이루어졌는데 광주이씨는 시숙들의 간섭에서 자유롭고 종부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굳건히 할 수 있는 장치로 입양문제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시숙들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오히려 멀리 있는 일가 중에서 양자를 골랐다. 광주이씨는 또한 종부로서의 권위를 확고히 하는 데는 종가의 경제권을 장악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당시 가정 경제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인 노비노동을 자신을 중심으로 결속시키기 위해서도 자신이 종가의 경제권을 제대로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남편은 물론 자신의 피붙이 하나 없는 종가에서 광주이씨는 19세기라는 사회적 격변기에 종가를 바로 세우고 이름뿐인 종부가 아닌 명실상부한 종가의 안주인으로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