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국대학교
DOI QR Code
자활은 지난 이십년간 우리나라의 대표적 근로연계복지제도로 존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대한 합의 없이 정책, 학계, 현장에서 제각기 이해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는 최근 자활사업의 다양한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자활의 정체성 위기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현장 실무자들의 자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반영하여 자활 개념 정립을 시도한다. 총 35명의 자활사업 실무자들에 대한 6번의 집단심층인터뷰를 통해 자활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자활사업 실무자들은 '취창업을 통한 노동 시장에의 편입', '소득창출을 통한 수급 탈피'와 같은 정책 목적과 성과에 부응하기 위해 '경제적 측면의 성과'에 초점을 두고 정책지향적으로 자활을 이해하는 동시에 실천가의 관점을 반영하여 '이용자의 역량강화와 삶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자활을 이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자활실무자들이 근로기회 제공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과정으로서 경제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는 동시에 정서적 역량강화와 동기부여, 근로장벽 극복과 같은 정서적 측면, 사회적 관계 형성과 회복을 통한 사회통합과 같은 사회적 측면, 그리고 삶의 회복과 주체적 삶을 위한 통합적 지원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자활에 대한 상반된 이해는 실천가들이 사회복지라는 직업적 미션과 성과지향적인 조직의 운영 사이에서 이용자의 역량강화 과정에 초점을 둘지, 아니면 단기적으로 성과평가를 위하여 취창업률과 탈수급률이라는 가시적 실적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등 현장의 혼란과 왜곡된 자활 운영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결과이자 과정이며, 경제적, 정서적, 사회적, 일상생활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자활을 이해할 필요성과 함께 이러한 자활의 특성을 반영한 실천 현장의 재설계의 필요성과 함의를 제안한다.
A self-sufficiency service has worked as a typical workfare policy combined with public assistance in Korea since 2000. Despite of its long history, three core pillars in administrating the self-sufficiency service,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have respectively understood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in terms of their own interests. As a result, the self-sufficiency service has recently faced with its own identity issues by showing failures to its environmental changes. The current situation makes it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the definition of self-sufficiency by exploring its in-depth understanding perceived by service providers. Specifically, we analyzed practical reflections on 35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which were collected via focus group interviews for two hours. The study findings presented that service providers had two antithetical approaches towards self-sufficiency. While a dominant approach to self-sufficiency has been concentrated on improving clients' economic outcomes such as employment, job retention, the escape from welfare trap, and increasing earnings and assets, the other approach has been extended to empower clients and achieve their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Yet, these contrary perspectives have led to suffer from their role confusions and identity crisis between the work-ready process and the employment-oriented outcomes. Specifically, they described self-sufficiency in term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integrated aspects. The psychological aspect included a process of developing inner strengths, intensifying job motivation, and coping with barriers of employment. The social aspect meant a path toward social integration through recovering human relationships. The integrated aspect covered more comprehensive support for their recovery of daily life and autonomy to make a decision for their own life.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elf-sufficiency should be more extensively considered as a stepwise process towards work-ready preparations beyond ultimate economic outcomes. Such an extended concept of self-sufficiency could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whole practice of self-sufficiency including organizational and program changes in the fields.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