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ir aging anxiety, with the ultimate goal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devising educational and interventive programs to help reduce aging anxie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0 middle-aged women living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0 to 28, 2018,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ing anxiety depending on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marital life satisfaction, leisure time activities, and number of friends. In addition, aging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women's aging anxiety were found to be self-efficacy,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these, self-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 explaining 42.7% of the participants' aging anxiety. To help middle-aged women reduce their aging anxi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rograms that improv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raise self-efficacy and promote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communitie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se women be provided with educational and interventive programs that help them adjust to aging and develop a positive awareness of i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화불안의 감소를 위한 교육과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B광역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0일부터 동년 5월 28일까지 수집하였다. 총 대상자는 2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 으로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연령, 교육수준, 가구월평균소득, 결혼생활만족도, 여가시간 활용종류, 친구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불안과 사회적지지,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결혼생활 만족도,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42.7%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활동 참여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이나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관계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노화에 대한 올바른 적응과 긍정적인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