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중국 북경과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별 효용값과 이를 이용하여 최적속성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 소비자가 생각하는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는 일러스트레이션, 섭취형태, 컨셉, 브랜드명 순이었으며, 일본 소비자의 경우에는 일러스트레이션, 컨셉, 섭취형태, 브랜드명 순이었다. 속성수준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일러스트레이션 속성은 중국 소비자의 경우 원재료 사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캐릭터 사진, 유명인 사진 순으로 선호하였다. 일본 소비자의 경우에는 원재료 사진과 유명인 사진보다 캐릭터 사진이 가장 선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컨셉 속성은 중국 소비자의 경우 유쾌한, 한국 전통, 모던 컨셉 순으로, 일본 소비자는 유쾌한, 모던, 한국 전통 컨셉 순으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섭취형태 속성에서는 중국과 일본 소비자 모두 RTE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RTH, RTC 순으로 조사되어 섭취가 간편할수록 더욱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명 속성의 경우 중국과 일본 소비자 모두 한국어로 된 한국 브랜드명보다 현지 언어로 된 현지화 브랜드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국과 일본 소비자에게서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와 속성별 수준에 따른 선호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국과 일본 내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시장에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 package designs using conjoint analysis.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270 consumers living in Beijing, China and Osaka, Japan, over the age of 20 years old,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or consumed a Korean HMR. Based on the attributes and levels within each attribute related to the Korean HMR product package design, 54 profiles were constructed. Of the 54 profiles, 11 combinations were selected using an orthogonal design,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nk the 11 combinations in order of preference from top to bottom. Resul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Korean HMR product package design attributes were analyzed. Chinese consumers regarded illustration, ingestion form, concept, and brand name, in that order, to b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Japanese consumers, illustration, concept, ingestion form, and brand name, in that order, were most important. For the illustration attributes, in order of importance, Chinese consumers preferred raw materials, characters, and celebrities,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red characters, raw materials, and celebrities. For the concept attributes, Chinese consumers favored, witty, traditional Korean, and modern concepts, whereas Japanese consumers favored witty, modern, and then traditional Korean concepts. For the ingestion form attributes, both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red Ready To Eat (RTE), followed by Ready To Heat (RTH), and then Ready To Cook (RTC). For the brand name attributes, both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red the localized brand name over the Korean brand name. Conclusion: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Korean HMR product package design attributes were observed among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s within each attribu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to assis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HMR package design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consumer needs in the market for Korean HMR in China and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