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of Literary Thought in the Middle of the Yi Dynasty through Seo Kyung Duk

서경덕(徐敬德)을 통해 본 조선 중기 근기(近畿) 문학 사상의 변화

  • Received : 2018.09.30
  • Accepted : 2018.10.30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I analyze Seo Kyung Duk's (徐敬德, 1489-1546) phonetic essay and deduce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Tang poetry style [唐詩風], which was popular in the 16th century. Seo Kyung Duk was known as a Ki[氣]-oriented scholar and a kind of numerologist. He taught people regardless of their status differences, which gave them an open-minded attitude. Most of them were active in the areas near Seoul. Around this time, the Tang poetry style began to be popular in the Yi dynasty. Most of the leading writers of this literary trend were his students. He thought that the universe was made up of the movement of Ki[氣] and that the movement followed the correct order of numbers. Ki[氣] is active, automatic, and inevitably creates the universe in the order of numbers.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re clear. All present existences, including human beings, fit together and collectively harmonize by themselves. Beyond the present discrimination, the Great Body [本體] returns to a clean and transparent unity. As such, the school presented the political stance of taking the differences of the present world into harmony and the literary position of trying to experience the clean and transparent unity of the Great Body through an aesthetic experience.

이 논문은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이 남긴 음성학 논문인 <성음해>라는 글을 풀이하면서 서경덕의 사유에 담긴 특징을 추론하고 이것이 16세기 당시풍의 흥성과 여하한 관련이 있는지를 추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경덕은 주기론을 전개한 학자로서 한국의 유학이 심화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학자이다. 서경덕은 신분에 구애되지 않고 많은 학자들을 길러낸 훌륭한 교육자였다. 그들 대부분은 서울부터 개성 사이 근기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 무렵 조선에서는 당시풍의 시풍이 유행했다. 이러한 문학 풍조를 이끈 이들은 대부분 서경덕의 제자들이다. 이것은 서경덕의 학문이 갖고 있는 특성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서경덕은 세계는 기의 운동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운동은 정확한 수의 질서를 따른다고 보았다. 기는 수의 질서를 따라 능동적이며 자동적이고 필연적으로 우주 만물을 만들어낸다. 세상의 모든 것은 저마다 타고난 기의 운동에 따라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현존재는 저마다 존재의 이유가 분명하여 모두가 서로 어울리고 총체적으로는 조화를 이룬다. 현세의 차별을 넘어선 본체는 맑고 깨끗한 하나로 돌아간다. 이처럼 현세의 차이를 조화와 어울림으로 받아들이는 정치적 입장과, 맑고 깨끗한 본체에 대한 진리 체험을 미적 체험으로써 체험하고자 하는 문학적 입장이 나타나게 되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가 16세기 문학의 변화를 이끌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호서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