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ody of Male Domination and the Problem of the Phallic Ideology: The Strategy of the Deconstruction of Penis-Narcissism and the Penis-Cartel

남성지배의 몸과 남근 이데올로기의 문제: 페니스 나르시시즘과 페니스 카르텔의 해체전략

  • 윤지영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8.11.19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econstruct the mechanism of male domination that constantly reproduces the hegemonic class of men. In order to overcome misogyny, we should no longer deny the ontological dimension of the reality of women's oppressions and the pre-eminence of the material condition of women's existenc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the category of women as a modality of resist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 I will highlight the correlation between penis and phallus according to which the phallus refers to the penis which is malleable and fragile and which disappears without being castrated by the external factor. From here we could deduce the fragility and imperfection, the non-absoluteness of the phallic order. Secondly, I will analyze the mechanism of penis-narcissism, which is the modality of the constitution of the individual identity of man. The penis is not only a physiological organ, but a site of self-estimation and the validity of the succession of power and authority of the father's law. With this penis-narcissism, man is constituted as a hegemonic body that can let itself go without worrying about the reactions of others. Thirdly, I will focus on the mechanism of the penis-cartel which is the modality of the formation of the collective identity. The penis-cartel is reinforced by the mutual affirmation of the superiority of men among themselves, but also by the permission and the tacit agreement of their absurdity and lack of rationality and corruption. Because the privilege of men is not monopolized by a small part of the elite, but i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shared by all men who are part of the hegemonic and collective category. In order to deconstruct the penis-narcissism and the penis-cartel,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the penis is not a self-sufficient body, nor a closed and impermeable body, but that it is a porous body where the organ serves both ejaculation and urinary ejection. The penis is a porous body that is at once the site of sublimity and degradation, purity and impurity. In addition, the penis is no longer an all-powerful and aggressive organ, but it is a malleable and fluid flesh that constantly changes its shape. Linked to a phallus-organ that is the notion of Jacques-Alain Miller, it is a site of deficiency and vulnerability that is not the axis of the penis-cartel. It is through the notion of the double porosity of the penis and the phenomenology of the flesh of the penis, I try to provide the modality of undoing the reproductive mechanism of predatory masculinity. Because this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o overcome misogyny.

여성혐오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여성이라는 존재론적 차원의 물질성과 현실성을 기각시키거나 저항의 단위소를 무화시키는 것이 아닌, 성별 불평등구조에서 지배계급성을 구성하고 있는 남성성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해체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 번째로 남근질서라는 아버지의 법질서에서 팔루스와 페니스 간의 유착성-팔루스가 초월적이며 절대적 심급이 아닌 스스로 축소되고 사라져버리는 페니스의 유약성에 참조점을 두고 있는 내재적 결핍성의 지점임을 이론적으로 추적해나감으로써 남근질서의 해체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두 번째로 남성지배의 축 중 하나인 페니스 나르시시즘이라는 개인적 정체성화의 작동방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페니스는 해부학적 기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애의 온전성을 담지받는 장소이자 아버지의 법질서의 사회문화적 권위와 권력의 계승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남성은 자신의 페니스를 중심으로 페니스 나르시시즘이라는 개인으로서의 남성의 정체성화 양식을 구성해나가고 있으며, 사회문화적으로는 방기하는 몸이라는 권력적 몸, 특권적 몸을 양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남성지배의 또 다른 축인 페니스 카르텔이라는 집단적 정체성화의 메커니즘은 남성들의 본래적 우월성의 상호확인에서만이 아니라, 남성들의 자기 완결성의 결여, 무능력함과 형편없음, 비리 축적을 상호 묵인함으로써 더욱 더 강력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남성 특권구조란 특정한 남성 개개인에게 독점되는 양태가 아니라, 남성이라는 성별 계급으로 범주화된 이들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나눠가지는 지배적 집합성에서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페니스 나르시시즘과 페니스 카르텔을 해체하기 위해서 페니스가 자기완결적이며 불침투적인 닫힌 몸이 아님을 드러내어야 한다. 즉 페니스는 사정기관과 배설 기관이라는 다공성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구멍 지어진 몸이자 숭고와 비천, 깨끗함과 더러움 등의 분열적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뚝 솟은 불변의 공격성과 능동성, 힘과 권위의 기관이 아닌, 시시각각 형태가 변하는 유동적 살로서의 페니스와 팔루스-기관의 유약성을 연동시켜 사유해봄으로써 페니스 카르텔의 남근다발이 한데 묶일 수조차 없는 결핍성의 지대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남근 이데올로기론이 갖는 임계점을 이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폭압적 남성성의 재생산 고리를 끊어내어 여성혐오를 극복해보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