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Child Care Compensation Criteria by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의한 자녀 양육비 보상 기준의 변화

  • 이신용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3.26
  • Accepted : 2018.06.1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Under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German family policy formed in the 1950s and 1960s minimized the role of the state while maximizing the role of the parents.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however, ruled that the level of compensation for the financial burden of child support costs must follow the basic rights, no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as taken the duty of protecting the human dignity of the state under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judgment.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dignity of a child is guaranteed only if the level of the child's allowance or deduc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child standard benefit under the Social Assistance Act established by Congress.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lso regarded the state to compensate parents for child support costs as much as the level of child standard benefit under the Social Assistance Act as a family protection obligation of the state under Article 6,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In addition,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ight to equality declared by Article 3 of the Constitution can be realized by compensating all parents for child support costs at the level of child standard benefit under the Social Assistance Act.

보충성원칙의 영향을 받아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형성된 독일 가족정책은 국가의 역할은 최소화 하고, 부모의 역할은 최대화했다. 하지만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자녀 양육비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보상하는 수준은 보충성원칙이 아니라, 기본권을 따라야 한다고 판시했다. 연방헌법재판소는 기본법 제1조가 규정하는 국가의 인간 존엄성 보호 의무를 판결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연방헌법재판소는 기존에 지급되었던 아동수당 혹은 자녀공제의 수준이 의회가 제정한 사회부조법의 자녀표준급여 수준과 같거나, 그 이상일 경우에만 아동의 존엄성이 보장되는 것이라고 판시했다. 아울러 연방헌법재판소는 국가가 사회부조의 자녀표준급여 수준만큼 부모에게 자녀 양육비를 보상하는 것은 기본권 제6조 제1항의 국가의 가족 보호 의무라고 보았다. 또한 연방헌법재판소는 사회부조의 자녀표준급여 수준으로 모든 부모에게 자녀 양육비를 보상해야 기본법 제3조가 선언하는 평등권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