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Formation of Deoneum of 19th Century's Sugungga

19세기 수궁가의 더늠 형성에 관한 연구

  • Lee, Jin O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Deoneum, Sugungga(水宮歌), and its tendency of the change through the trace of the Pansori masters who worked in 19th century. The time that the main group of the Sugungga masters appeared in the Pansory history is estimated in early 19th century. The Sugungga masters in this time could be divided in two groups, one is the early days masters who worked in early 19th century and the other is the latter days masters who worked in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Kwon Sam-deuk(權三得), Song Heung-lok(宋興祿), Yeom Gyeo-dal(廉季達), and Shin Man-yeob(申萬葉) are the Sugungga masters who worked in early 19th century. By the records they left, I could confirm that they used the description about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in the work and Soritjo(Pansori master's tonality), like the appearance of 'Bangge(crab)' and 'Tiger', and particularly they developed which has the scene of the Rabbit's deceiving the Dragon King and Rabbit's return, 'Goandaejangja(寬大長者)', 'Gaja-Eoseoga', 'Sojinowha(笑指蘆花)', 'Apnae-Beodeuleun' and the scene of 'Rabbit's curse(the part that Rabbit curses Byeljubu)' etc. I could understand that the interest of the early days Pansori masters about Sugungga is on the characters and the latter part of the work. The separation of Dongpyeonje(東便制) and Seopyeonje(西便制) of Pansori was done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As the Dongpyeonje master, Song Wu-ryong(宋雨龍), Park Man-sun(朴萬順), Song Man-gab(宋萬甲), Shin Hak-jun(申鶴俊) and Yu Seong-jun(劉成俊) worked. As the Seopyeonje masters, Park Yu-jeon(朴裕全), Kim geo-bok(金巨福), Kim Su-yeong(金壽永) and Baek Gyeong-jun(白慶順) etc. sang Sugungga. The Dongpyeonje masters developed the 'Toggigibyeon(토끼奇變)' related Deoneum paying attention on the latter part of Sugungga same as the early days masters. Meanwhile it looks like that they had interest in developing the parts which belong to the middle and early parts of Sugungga like 'Toggiwhasang(토끼畵像)', 'Gogocheonbyeon(皐皐天邊)' and 'Tobyeolmundab(兎鱉問答)'. The Seopyeonje masters developed the parts belong to the early part of Sugungga, which are related to Dragon King and the courtiers in Sugung palace, like 'YongwangTansik(龍王歎息)'. And I could confirm that they developed the parts influenced by Shin Jaehyo's editorials like 'Tosahobi(兎死狐悲)' and 'Goguksancheon(故國山川)' etc. In short, I could confirm the trend that the Pansori masters in 19th century had interest in from the latter part to the early part of Sugungga. If taking a look focusing on main characters, they moved their interest in from Rabbit to the courtiers including Byeoljubu(鱉主簿) and Dragon King in Sugung palace, and it could say that, in this trend, Sori part and Deoneum were developed.

본 연구는 19세기 활동했던 판소리 명창들이 남긴 기록과 흔적을 통하여 수궁가의 더늠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변화의 경향성을 검토한 것이다. 판소리사에서 본격적으로 수궁가 명창이 등장한 것은 19세기 전반 무렵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전반기에 수궁가의 초기 명창들이 등장한 이후, 19세기 중후반에는 동편제와 서편제로 유파를 달리하는 명창들이 등장했다. 19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수궁가의 초기 명창은 권삼득, 송흥록, 염계달, 신만엽을 들 수 있다. 이들이 남긴 기록으로 볼 때, 이들은 '방게'와 '호랑이'의 등장처럼 극적인 작중인물 대한 묘사와 소릿조를 활용했으며, 특히 주로 토끼가 용왕을 속이는 장면과 토끼의 육지 귀환을 담고 있는 '관대장자', '가자 어서가', '소지노화', '앞내 버들은', '토끼가 욕하는 대목' 등을 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 판소리 명창들의 수궁가에 대한 관심은 대체로 작품의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었던 것이다. 19세기 중후반 판소리는 동편제와 서편제의 분화가 이루어진 때다. 동편제 명창으로는 송우룡, 박만순, 송만갑, 신학준, 유성준이 활동하였고, 서편제 명창으로 박유전, 김거복, 김수영, 백경순 등이 수궁가를 불렀다. 동편제의 명창들은 초기 명창들과 마찬가지로 수궁가의 후반부에 관심을 두어서 '토끼기변'과 같은 더늠을 개발하기도 했으나, 이들은 점차 '토끼화상', '고고천변', '토별문답'처럼 수궁가의 전반부와 중반부에 해당하는 대목을 개발하는 데도 관심을 두었다. 서편제 명창들은 '용왕탄식'처럼 용왕과 관련한 수궁가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더늠을 개발하는 한편, '토사호비', '고국산천' 등 수궁가의 중반부와 후반부에 해당하는 사설을 다듬기도 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서 19세기 판소리 명창들이 개발한 더늠을 검토할 수 있었다. 초기 수궁가 명창들은 수궁가 후반부의 더늠을 개발하였고, 동편제 명창에 이르러 수궁가 전반부의 대목에 관심을 두게 되었으며, 서편제 명창들은 다시금 수궁가의 전반적인 사설을 다듬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수궁가 명창들은 초기에는 토끼에 관심을 두었다가 별주부를 비롯한 수궁의 신하들, 용왕으로 관심의 무게를 옮겨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