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of Pansori In Gwangju Region : A Case Study Of Gwangju Gwonbeon

광주권번을 통해 본 광주지역 판소리의 전승양상

  • Received : 2018.01.08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As Gwangju Gwonbeon(meaning of a gisaeng call-office) was representative Gwonbeon in Honam area, it educated gugak(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o 1951, the year of foundation of Gwangju gugak center. As Gwangju Gwonbeon's later self, Gwangju gugak center was also an institution that local influentials interested in the education of gugak of Gwangju region cooperated and built. Therefore, Gwangju Gwonbeon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of gugak in Gwangju is mentioned. However, the studies of Gwangju Gwonbeon as well as related studies are still thi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Gwangju Gwonbeon are mostly focused on the operation and dance of Gwonbeon. However, Gwangju was a region where Pansori was invigorated. According to "Joseonmiinbogam", a record of gisaeng(Korean geisha) in 1918, gisaengs of Gwangju Gwonbeon were specialized in Pansori 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egions. In addition, today, there are many master singers of Pansori heard by people, among persons who were educated and a lecturer in Gwangju Gwonbeon; therefore, their oral statement is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ransmission of Pansori in Gwangju.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Gwangju Gwonbeon and Pansori was not studied yet. Especially, oral statement of master singers of Pansori related to Gwangju Gwonbeon was collected partly, as a result, it is not recognized as valuable research materials. Foundation of Gwangju Gwonbeon and Gwangju gugak center became an important basis for education of Pansori as early private institute educating Korean classical musicians in Gwangju. And it is also meaningful as the trigger that gugak in Gwangju was begun in earn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nstruct activities of master singers who worked in Gwangju Gwonbeon and Gwangju gugak center and is to examine transmission and value of Pansori in Gwangju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o 1973, collecting oral statement of master singers related to Gwangju Gwonbeon. Finally, this study might be helpful for expanding the interest in Pansori and activating related studies.

광주권번은 호남의 대표적인 권번으로, 일제강점기부터 1951년 광주국악원이 창립되기 이전까지 광주지역의 국악교육을 수행한 곳이기도 하다. 광주국악원 역시 광주권번의 후신으로 광주의 국악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지역 유지들이 힘을 모아 세운 기관이다. 따라서 근현대 광주 국악사를 거론할 때 광주권번은 빠지지 않는 이름이다. 그럼에도 광주권번 자체는 물론, 관련 연구 등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파악된 광주권번에 대한 연구는 권번운영과 무용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광주는 지역적 특성상 판소리가 활성화되었던 곳이다. 1918년 당시 기생에 대한 기록인 "조선미인보감"에 의하면, 다른 지역에 비해 광주권번의 기생들은 판소리에 특화되어 있기도 했다. 또한 광주권번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또 학생으로 교육을 받았던 인물들 중 오늘날 대중적으로 알려진 수많은 명창들이 있다. 이들이 증언하는 광주권번과의 인연은 광주지역의 판소리 전승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하지만 광주권번과 판소리의 상관성은 아직까지 제대로 연구된 바 없는 실정이다. 특히 광주권번에 관한 판소리 명창들의 증언은 현재 파편적으로 존재하고 있어 그 가치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광주권번과 광주국악원의 창립은 광주지역 국악인 양성교육을 위한 초기 사설학원으로서 판소리 교육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광주지역의 국악을 본격적인 궤도에 올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에 필자는 곳곳에 파편적으로 존재하는 명창들의 증언을 한 곳에 모으는 작업에 중요성을 두고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광주권번과 광주국악원에서 활동했던 명창들의 활약을 재구성할 수 있었고, 일제강점기부터 1973년경까지 광주지역의 판소리 전승양상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기점으로 광주지역 판소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관련 연구가 보다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