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examination of Theory of Pansori Originating in Chinese Tale-Song Literature

판소리 중국(中國) 강창문학(講唱文學) 기원설(起源說) 재론(再論)

  • 서유석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theory of Pansori (Korean musical storytelling genre) originating in Chinese tale-song literature. The said theory, first presented by Kim Hak-ju, succeeded in confirming the common points and association between Pansori and the Chinese tale-song literature, but failed to present the supporting ground for proving that Pansori originated in the said Chinese genre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works and their performance type. In actua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factors of Pansori and the said Chinese genre naturally resulted from the performance situation where both genres should involve one singer chanting epics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various role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identity of performance environment made the Pansori clown theory and the Gosagye tale-song(鼓詞系講唱) theory very simil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for one singer to present the wide spectrum of epic to the audience, the realistic description was the main part of literary style of both tale-song literature and Pansori, and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in the literary style of both tale-song literature and Pansori, the mixed use of time and temporal penetration were free. If a long performance of musical storytelling can be conceptualized in terms of 'tale-song' or 'oral epic', the Chinese tale-song literature and Pansori had similarity in the bigger frame of 'tale-song' or 'oral epic' and yet developed to have their own features.

본고는 판소리의 중국 강창문학 기원설을 재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김학주에 의해 처음 제시된 판소리 강창문학 기원설은 판소리와 중국 강창문학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작품 내용 비교나 연행 형식 비교를 통해 판소리가 중국 강창문학에서 기원했음을 직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실제로 판소리와 중국 강창문학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 요소들은 판소리와 강창문학이 '한 사람'의 창자가 서사를 연행하면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맡아야하는 연행적 상황 하에서 똑같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현상에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행적 환경의 동일성 때문에 판소리 광대론과 고사계강창의 예인론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의 창자가 커다란 서사의 스펙트럼을 다수의 청중에게 제시하기 위해, 강창문학과 판소리는 핍진한 묘사가 문체의 주요한 특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강창문학과 판소리의 문체에서 시점 혼용과 침투가 자유로울 수 있음을 밝혔다. 하나의 이야기를 말과 노래를 섞어 긴 시간 연행하는 것을 '강창' 혹은 '구비 서사시'로 개념화할 수 있다면, 사실상 중국 강창문학과 판소리는 '강창' 혹은 '구비서사시'라는 큰 틀 안에서 유사성을 가지면서 각자의 특색을 발전시켜 나간 갈래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