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8주간 복싱 복합트레이닝이 남자 대학생의 심폐기능과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 Week Boxing Combined Training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Male College Students

  • Lee, SeokJo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Sim, YoungJ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11.28
  • 심사 : 2018.12.26
  • 발행 : 2018.12.31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xing combined training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male college students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Methods: Eighteen mal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boxing exercise (n=6), aerobic exercise e(n=6), and non-exercise (n=6).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50 minutes every three weeks, for a total of eight weeks. After eight week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Participants in the eight-week boxing exercise group and th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maximal oxygen, which was not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body mass index decreased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boxing exercise and control groups. Body fat (%) and abdominal fat (%)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ercise groups,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Skeletal muscle mass increased in the boxing exercise group,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boxing, aerobic exercise, and control groups.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increased in both exercise group, but did no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Flexibility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an eight-week boxing exercis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균, 김혁출, & 이만균 (2008). 12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노인의 심폐기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7(4), 377-387.
  2. 김경태 (2010). 태권도수련과 근력복합운동이 민간경호원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2(3), 265-276.
  3. 김광준 (2009). 코어근육 강화 트레이닝이 여자 프로골퍼의 유연성, 근력 및 드라이버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2), 212-221.
  4. 김광준, & 정진욱 (2008). 체급별 국가대표 복싱선수의 폐기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력 비교 연구. 운동과학, 17(2), 191-200.
  5. 김도희, 주동엽, 김수근, 정동혁, & 서정훈 (2007). 운동프로그램이 중년남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체력과학연구, 29(1), 57-65.
  6. 김명일 (2006). 12주간 태권도 수련이 신체조성, 체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253-260.
  7. 김석희, & 홍춘기 (2014). 기숙환경 남자 비만대학생의 8주간 개별적 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심폐기능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2(4), 355-362.
  8. 김선영, & 정유진 (2008). 16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조성 및 심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6(3), 167-182.
  9. 김선화 (2009). 복합운동이 비만중학생의 신체조성,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김성주 (2012). 복싱 원투스트레이트 동작시 전완의 회내 유무에 따른 신체 각 분절의 운동학적 변인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1(1), 1093-1104.
  11. 김수미 (2005). 여대생의 체중 조절 시도 여부 및 방법에 따른 신체상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관리대학원, 서울).
  12. 김수봉 (2008). 24주간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건강체력 및 대퇴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7(5), 363-372.
  13. 김준석 (2007). 체육수업 시 복합트레이닝이 남자 중학생의 기초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경기도).
  14. 김진표, & 김주영 (2009). 복싱 클럽의 참여정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20(1), 187-197.
  15. 류병관, 정진욱, 진영수, 이혜영, 송성일, ...김태완 (2009). 태권도 수련이 학령기 아동의 골격성숙도, 신체구성,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1(2), 19-26.
  16. 박효익 (2001). 규칙적인 운동이 초등학생의 비만도 개선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청북도).
  17. 반성민, 이경준, & 양정옥 (2012).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4), 703-715.
  18. 변재경, 박순희, & 정수정 (2008). 12주간의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9(1), 157-172.
  19. 변재철 (2008), 8주간의 유.무산소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흡연, 비흡연 남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관련 변인, 혈중 지질 및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9(3), 51-59.
  20. 보건복지부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손연정, & 김기연 (2012). 성인 여성의 비만, 자존감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 대한비만학회지, 21(2), 89-98.
  22. 유경태, 이만균, & 성순창 (2008).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체력, 보행능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9(2), 37-50.
  23. 이강구, & 정근표 (2009). 태권도 운동이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젖산피로도, 신체구성, 유산소능력과 무산소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1), 819-828.
  24. 이상규, 강설중, 정성림, & 김병로 (2009). 유산소 및 근력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심박수변이도 및 혈역학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회 운동학학술지, 11(1), 1-8.
  25. 이상현, & 고성식 (2012). 비만정도에 따른 고령 여성들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신체조성과 등속성 각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2), 117-126.
  26. 이성주 (2011). 벨리댄스 운동이 비만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체력 및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27. 이윤빈, 이대택, 황봉연, 손윤선, & 김종광 (2017). 복싱동작과 훈련기간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변화. 한국체육학회, 56(3), 539-549.
  28. 임채성, 지용석, & 장창현 (2011). 9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댄스스포츠 선수인 여고생의 체력, 혈액성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3), 227-238.
  29.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0. Deschenes, M. R., Giles, J. A., McCoy, R. W., Volek, J. S., Gomez, A. L., & Kraemer, W. J. (2002). Neural factors account for strength decrements observed after short-term muscle unloading.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282(2), R578-R583. https://doi.org/10.1152/ajpregu.00386.2001
  31. Gajdosik, R. L., Giuliani, C. A., & Bohannon, R. W. (1990). Passive compliance and length of the hamstring muscles in healthy men and women. Clinical Biomechanics(Bristol Avon), 5(1), 23-29. https://doi.org/10.1016/0268-0033(90)90028-5
  32. Jee, S. H., Yun, J. E., Park, E. J., Cho, E. R., Park, I. S., Sull, J. W., ... Samet, J. M. (2008). Body mass index and cancer risk in Korean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23(8), 1892-1896. https://doi.org/10.1002/ijc.23719
  33. Mertens, I., Van der Planken, M., Corthouts, B., & Van Gaal, L. F. (2006). Is visceral adipose tissue a determinant of von Willebrand factor in overweight and obese premenopausal women? Metabolism, 55(5), 650-655. https://doi.org/10.1016/j.metabol.2006.01.001
  34. Naclerio, F. J., Colado, J. C., Rhea, M. R., Bunker, D., & Triplett, N. T. (2009). The influence of strength and power on muscle endurance test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3(5), 1482-1488.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1a4e71f
  35. Wang, J. J., Qiao, Q., Miettinen, M. E., Lappalainen, J., Hu, G., & Tuomilehto, J. (2004). The metabolic syndrome defined by factor analysis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in a chinese population with high postprandial glucose. Diabetes Care, 27(10), 2429-2437. https://doi.org/10.2337/diacare.27.10.2429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Obesity and Overweight. Gi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