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루이사 봄발과 김채원의 작품에 나타나는 숭고한 남성이라는 대상의 붕괴

Destruction of the Dignified Object Called Man in María Luisa Bombal and Kim Chaewon's Works

  • 투고 : 2018.11.10
  • 심사 : 2018.12.12
  • 발행 : 2018.12.30

초록

칠레 여성 작가 마리아 루이사 봄발(María Luisa Bombal, 1910 - 1980)의 단편소설 "나무"('El ${\acute{a}}rbol$', 1939)는 '브리히다'라는 여주인공의 '개안(눈뜸)의 과정'을 이야기한다. 브리히다는 아버지의 관심을 얻지 못하자, 이를 남편의 사랑으로 대치하고, 이마저도 실패하자, 이를 대신하여 창문 앞 아름드리 고무나무 (남자로부터 받는 사랑의 대체물)에게서 위로를 얻고자 한다. 개안의 순간은 국가도로사업에 의해 고무나무가 잘려 나가면서 일어난다. 그 순간 그녀는 자신이 아직도 사랑을 원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소설은 나무의 쓰러짐과 여성 개안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지 않으므로써 그 상징성과 심미성을 높였다. 이에 필자는 봄발의 "나무"를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는, 한국 여성작가 김채원(1946 - )의 단편소설 "물의 희롱-무와의 입맞춤"(2015)을 분석한다. 김채원의 작품을 통해 봄발을 읽음으로써 봄발의 "나무"가 궁극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 여성이 남성과의 성과 사랑에 기대는 한 결국 파멸되게 되어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라틴아메리카의 단편소설과 아시아의 단편소설을 나란히 놓고 읽음으로써 여성이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인지해야 할 점들(a. 남자가 바라는 여자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의 오류와 b. 남성을 인생의 부분으로 여기지 못함으로써 생기는 오류)을 지적한다. 그리고 필자는 쟈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에서 나타나는 욕망대상의 허상성과 숭고한 대상의 붕괴를 통하여 앞서 언급한 두 소설이 말하는 예정된 여성 파멸의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결론으로 여성의 개안이란, 남성과의 성과 사랑을 통한 인생에의 안온함은 없다는 것을 인지하여, 본질적으로 허상적인 사랑에 스스로를 가두는 습성을 버려야 함을 주장한다.

The Chilean female writer María Luisa Bombal (1910 - 1980)'s "El ${\acute{a}}rbol$" (The Tree) (1939) tells the process of Brigida's epiphany. Brigida first tried to gain her father's love and failed, and later her husband's love and failed, then tried to substitute that love from men with solace from a tree. At the end of the novel, the epiphany occurs when the tree is cut down. In the present work, I explain the meaning of Brigida's epiphany, by comparing this Chilean short story with the Korean female writer Kim Chaewon(1946 - )'s "Trick of Water: A Kiss with Nothing" (2015). In this Korean short story, Kim insists that a woman who tries to find comfort in life through love with a man is destined to fail. I also examine the errors of the female characters' behaviors in these two short stories that led them to their self-destruction, trying to modify their behaviors in order to be loved by a man and their tendency to consider the man as everything in their life, and not as a part of their life. In order to explain the fated failure of finding comfort in life in the love of a man, I analyze the fleeting characteristic of acquiring an object of desire using Jacques Lacan's "Theory of Desire" and "The Destruction of the Elevated Object into the Dignity of the Thing." Thus, I conclude that women need to acknowledge that comfort in life cannot be found in the love of a man and that they should stop confining themselves to this fictitious characteristic of the dignified object called ma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