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 and Justice are Compatible ? - In Theory of Paul Ricœur

사랑과 정의, 양립 가능한가 - 폴 리쾨르 이론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8.10
  • Accepted : 2018.09.03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In the moral culture of the West, love and justice are two commands with roots in ancient times. One is the heritage of Hebraism, and the other belongs to the tradition of Hebraism and Hellenism. The two concepts are the most important virtues required for preserving stability in society. These two commands are compatible, in an exclusive relationship to each other. To ultimately seek their reconciliation, the precise concep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each of them should be premised on, due to the multi-layered meaning of implications of the two concepts. To this end, we first have started with a lexical meaning and have done a conceptual analysis of what these two concepts are expressing. We have looked at Paul $Ric{\oe}ur$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discourse of love and justice. Finally, we looked at how these two concepts are narrated in literature. Through the literary works of Stendal, Albert Camus, and Dostoevsky, we have seen examples of literary configurations that have been embodied in life. In this way, through conceptual analysis, discourse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of the two concep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Love and justice were not a matter of choice. We could see coldness and unrealism of a society lacking love or with a problem of unclean love, through Stendhal's and Albert Camus' novels and their actual debate. In addition, in unclean paternalism, risk of the power of love blocking certain a certain touch of justice was also confirmed. So, it was necessary for a healthy future societ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love and justice.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mpatibility in a 'considerate balance' wherein the 'moral judgment in situation' is required, as Paul $Ric{\oe}ur$ expressed. This ideal situation may be realized when forms of love involving solidarity, mutual care, and compassion with pain like Dostoevsky are combined with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al justice. When Albert Camus pursued justice and eventually faced reality and mentioned the need for mercy, he could have made a moral judgment based on this situation. In the end, love protects justice, and justice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love. Justice reduces super-ethical love to moral categories, and love plays a role in enabling justice to exert its full force.

서구의 도덕 문화에서 사랑과 정의는 고대로부터 내려온 두드러진 두 개의 명령이다. 하나는 헤브라이즘의 유산이고, 다른 하나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의 전통에 속한다. 그만큼 두 개념은 인간 공동체 사회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덕목이자 개념이다. 그런데 서로 배타적 관계로 보이는 이 두 명령은 양립 가능할까? 그들의 화해를 궁극적으로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 두 개념이 함의하고 있는 의미의 다층성으로 인해 그들 각각에 대한 정확한 개념 분석과 다각도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사전적 의미에서부터 출발하여 이 두 개념이 무얼 말하는지 개념 분석 작업을 했으며, 그리고 사랑과 정의의 담론이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폴 리쾨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끝으로 이 두 개념이 과연 문학 작품에서는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 그 문학적 형상화의 사례들(스탕달, 알베르 카뮈,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을 통해 허구적이나마 삶 속에 구현된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두 개념에 대한 개념 분석, 담론 분석, 이야기 분석을 차례로 살펴본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사랑과 정의는 어느 한쪽을 선택할 문제는 아니었다. 부정한 사랑의 문제점이나 사랑이 결여된 정의사회의 냉정함과 비현실성 등은 스탕달과 알베르 카뮈의 소설적 형상화나 그들의 실제 논쟁을 통해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부정한 온정주의에서는 사랑의 힘이 정의의 손길을 일정부분 차단할 수 있는 위험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차라리 사랑과 정의, 그 양자를 함께 보듬어 양립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건강한 미래 사회를 위해 더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여기서 우리는 폴 리쾨르의 표현처럼 '상황에 맞는 도덕적 판단'이 요구되는 '사려 깊은 균형'에서 그 양립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은 차원 높은 시민의식이 발휘되는 연대의식과 상호 배려, 도스토예프스키처럼 고통을 함께 하는 연민 등이 개입된 사랑의 형태가 분배적 정의 원리와 결합되었을 때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알베르 카뮈가 정의만을 추구하다 결국 현실을 직시하고 자비의 필요성을 언급할 때 이미 그는 이러한 상황에 따른 도덕적 판단을 내렸다고 할 수 있겠다. 결국 사랑은 정의를 지켜주고, 정의는 사랑을 현실화하는 데 기여한다. 정의는 초윤리적 사랑을 도덕 범주로 환원하는 데 일조하며, 사랑은 정의가 한껏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