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iv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udy Abroad at Korean Universities: Economics, Language, Culture, and Personal Development

한국대학교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학습동기 : 경제, 언어, 문화, 인성 발달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5.10
  • Accepted : 2018.06.30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motiv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udy abroad at Korean universities. Employing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this study used grounded theory to analyse data obtained from student interviews, essays, digital storytelling videos, and student video representations to explicate the nature of study of six subjects. All subjects were enrolled in English Education courses during years 2014-2017. The researcher was the course instructor.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major codes that emerged from data analyses were those of economics, culture, language study, and personal development, corroborating with findings of most research literature regarding international students' motivations (OUSO, 2015). However, survey of professional literature and study data showed that motivational code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and this study, were discursive in nature in that each code was not only connected to all other codes, but also mutually co-constructive.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at motivational codes found in study abroad literature were discursive in nature, resembling Bourdieu's (1991) theory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motivations for studying abroad are subsumed under economic logic of expense and career development.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교에서 유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동기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질적연구방법과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는 6개 과목의 학습 본질을 설명할 수 있는 학생 인터뷰, 에세이, 디지털 스토리텔링 비디오 및 학생 제작 동영상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통해 분석하였다. 모든 과목은 2014학년부터 2017학년까지 영어교육 과정에 등록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 과정의 교수자였다. 데이터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범주가 경제력, 문화, 언어학습 및 자기개발이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동기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문헌의 결과를 입증한다(OUSO, 2015). 그러나 본 연구와 문헌에서 제시된 동기의 범주가 본질적으로 담론적(discursive)이었다는 것을 전문 문헌과 연구 데이터의 조사가 보여주는데 그 이유는 각 범주가 다른 모든 범주와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상호구성주의적(co-constructive)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유학 관련 문헌에서 발견된 동기의 범주가 본질적으로 담론적이라는 것이며, 이는 부르디외의 경제, 사회 및 문화 자본론(1991)과 유사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학의 다양한 동기가 비용과 경력 개발이라는 경제 논리하에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