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ecoming-Nonhuman Animal in the Neurological State of Exception: Black Swan and Birdman

신경학적 예외상태에서 비인간적 동물-되기: <블랙스완>과 <버드맨>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n the contemporary American cinematic landscape, there is a distinctive tendency to depict the disturbing ways in which characters with brain damages perceive, remember, and think about the world. Despite its attempts to examine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se characters' subjectivities, the previous scholarship on this trend of film was limited in being either too pessimistically deterministic or too euphorically optimistic. Critically reading neuroscientific discourses on the brain-damaged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Giorgio Agamben's critique of biopolitics,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ontemporary American cinema of the impaired brain attempts to mediate the neurologically inexplicable affects of those subjects who are in the neurological state of exception and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of a becoming-nonhuman. By closely reading Darren Aronofsky's Black Swan and Alejandro $Gonz{\acute{a}}lez$ $I{\tilde{n}}{\acute{a}}rritu^{\prime}s$ Birdman in this regard, I show how the two films, by employing different sets of cinematic free indirect techniques, express the neurologically impaired subject's affective experience of a becoming-nonhuman animal in different ways, and thereby to a more or less extent act as 'profaned' neuro-biopolitical apparatuses.

현대 미국 영화의 풍경 가운데 새로운 경향 중 하나는 뇌신경 체계가 손상된 주인공들이 세계를 지각하고, 기억하고, 사고하는 방식을 종종 그리는데 있다. 하지만 이 영화들이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정신 병리적 주체성의 사회-정치적 함의를 밝히는 토마스 엘세서나 패트리샤 피스터스 등의 기존 연구들은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결정론적이거나 지나치게 도취적으로 낙관주의적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었다. 이 논문은 조르지오 아감벤의 생명정치 비판의 관점에서 뇌질환 주체들에 대한 신경과학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읽으면서 현대 미국의 손상된 뇌의 영화들이 어떻게 신경과학이 파악하지 못하는, 신경학적 예외상태에 있는 주체들의 정동을 영화 미학적 실천들을 통해 매개함으로써 이 주체들의 비인간-되기의 경험을 표현하려고 시도하는지를 논의한다. 필자는 특히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영화 <블랙 스완>과 알레한드로 이냐리투의 영화 <버드맨>을 이 같은 측면에서 비교해서 읽으면서 이 영화들이 각기 어떻게 상이한 영화적 자유간접 담화 기법들을 통해 뇌신경 장애 주체들의 비인간적 동물-되기의 정동적 경험을 상이하게 표현함으로서 아감벤이 세속화된 생명정치 장치라고 부르는 대항-장치들로서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