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비교교육연구)
- Volume 28 Issue 4
- /
- Pages.137-163
- /
- 2018
- /
- 1229-3903(pISSN)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Primary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i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연구
- Li, Xu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Na-Shi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 Kyunghee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07.15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Regarding professionalism of primary teachers, a dispute over professionalism as classroom teachers versus as subject teachers has been amplified past decades. However, these controversies tend to be resolved mainly by theocratical, political, and systematic facets. In other words, discussions on professionalism of primary teachers have been explored in various aspects, but they have not much focused 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Moreover, although from a comparative educational point of view some research focus 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in North Americas and European countries, comparison studies of the programmes in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Korea have been rarely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ased on what the research found we attempt to understand Korean programmes from a new perspective. Selecting each of 13 teacher educational universities in two countries, we analyse documentations of the universities in which the educational aims, proportions of curricula construction, curricula requirements, and types of subjects are presented. Our research offers implications for future revision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교실담임으로서의 전문성과 교과전문가로서의 전문성 간의 논쟁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초등교사의 전문성 논의는 주로 이론적, 교원 정책적, 교원양성 체제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었으며,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경우는 많지 않다. 더욱이 일부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경우도, 북미와 유럽 선진국에 관한 연구는 일부 있으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국들의 사례를 검토하고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을 비교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13개씩 총 26개의 초등교사양성 기관의 프로그램을 교육목표의 성격, 교육과정의 구성, 교육과정 이수 요건, 개설교과목의 유형 및 성격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 개선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