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영동남부권 내륙물류기지 입지경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al Competitiveness Factor of Inland Logistics Complex in Gangwon

  • 민세홍 ((재)북방물류연구지원센터 물류기획팀) ;
  • 정동훈 ((재)북방물류연구지원센터 물류연구기획팀) ;
  • 강달원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경영학과)
  • 투고 : 2018.11.19
  • 심사 : 2018.12.27
  • 발행 : 2018.12.31

초록

본 연구는 강원영동남부권 내륙물류기지 필요성 및 입지 경쟁력 분석을 위해, 강원권 물동량 추정 및 내륙물류기지 입지 경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강원권 산업단지 산출 가능 물동량은 775만 톤이며, 내륙물류기지의 조성지역은 기종점 분석 결과 가장 적합한 지역은 원주시로 나타났다. 내륙물류기지 경쟁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통해 28개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해당 요인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16개의 요소가 4개의 요인으로 분류 되었다. AHP 분석결과 요인별 중요도는 '접근성 요인'(0.374)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연계성 요인'(0.358), '운영성 요인'(0.166), '정부정책 요인'(0.10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항목에서의 중요도는 '내륙물류기지에서 수요지까지의 수배송'(0.160)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 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a suitable location for an inland logistics complex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and it aims use competitive factors to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logistics competitiveness of Gangwon Province. According to Origin-Destination analysis, the most suitable and desirable site for creating the complex was found to be in the Wonju city area. A total of 28 variable were derived through prior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etition factors for the inland logistics complex,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16 sub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main factor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alysis showed that 'accessibility factors' (0.374) ranked highest in terms of importance, followed by 'reliability factors' (0.358), 'operability factors' (0.166), and 'government policy factors' (0.102). In each category, delivery of goods from the inland logistics complex base to the demand sit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0.160).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달원, 김율성(2015), 국제물류센터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2호, 한국해운물류학회, pp.373-390.
  2. 강달원외 2인(2017), 동해.묵호항의 북방물류중심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기종점(OD)분석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33권 제3호, 한국해운물류학회, pp.663-685.
  3. 국가교통DB(2017), 전국지역간 품목별 도로 물동량 O/D(2015년 기준)
  4. 국가교통DB(2012), 2011년 전국 화물 기종점통행량(O/D) 조사
  5. 국가교통DB(2014), 2014년 물류거점 화물실태조사
  6. 국토교통부(2018), 제3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2018-2022)
  7. 권혁구, 이정윤(2011), 물류시설 관련 계획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연구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8. 아즈자르갈, 안승법, 김형준(2013), 내륙물류기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연구, 제21권 제4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pp.1-19.
  9. 안승범외 2인(2003), 계층분석방법을 이용한 화물터미널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영남권 내륙화물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공학, 제16권 제1호, 대한산업공학회, pp.34-43.
  10. 윤관호, 차영두, 여기태(2017), 영남권 물류센터 입지 선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프랜차이즈 A사 사례를 중심으로-, 로지스틱연구, 제25권 제2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pp.43-55.
  11. 이충효, 정태원(2013), 경인 아라뱃길 김포고촌물류단지 입지선택요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77권 제호, 한국해운물류학회, pp.255-273.
  12. 정진욱외 3인(2016), 내륙 거점 물류단지 기능중첩 및 연계체계 불합리성에 관한 연구: 영남권 복합물류터미널을 사례로, 대한교통학회지, 제34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304-317.
  13. 진무위, 이향숙(2017), 지역물류단지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방법론 연구, 로지스틱연구, 제25권 제4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pp.95-106.
  14. 채서일(2006), 사회과학 조사 방법론, 학현사
  15. 한국교통연구원(2008), 통행발생 원단위 적용의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보고서
  16. 한국교통연구원(2016), 2016년 국가교통조사 및 DB구축사업 5권 전국 화물 O/D보완갱신, 연구보고서
  17. 한국산업단지공단(2017), 2016년 하반기 공장등록현황보고, 연구보고서
  18. Satty, T.L. and Kearns, K.P(1985),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 Pergamon Press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