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imal Ethics and Argument from Marginal Cases

동물 윤리학과 '가장자리 경우 논증'

  • Received : 2018.07.12
  • Accepted : 2018.08.17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Recently, a lot of articles and writings defending animal right and welfare are introduced into our society. For example, P. Singer's Animal Liberation, T. Regan's The Case for Animal Rights, and J. Rachels's Created From Animal are representative writings of animal ethics. In his books, P. Singer maintains that all animals are equal. T. Regan insisted that animals as a subject of a life have rights. J. Rachels's moral individualism is that how an individual may be treated is to be determined, not by considering his group membership, but by considering hi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terestingly, they use common argument called 'argument from marginal cases' to justify their theoretical positions. If we can disclose the weakness of the argument, all kinds of animal ethics which defend animal right and welfare such as animal liberation theory, animal rights theory and moral individualism will collaps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concrete contexts in which Singer, Regan and Rachels make use of the argument. And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argument. Lastly I will show that the attempt to deny the difference of species is unsuccessful.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동물의 복지나 권리를 옹호하는 서양 철학자들의 논의가 많이 소개되고 있다. 예컨대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톰 리건의 동물권리론, 제임스 레이첼즈의 도덕적 개체주의가 그것이다. 흥미 있는 사실은 이들 모두가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공통의 논증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다름 아닌 '가장자리 경우 논증'이라고 불리는 논증이다. 이 논증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지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정상으로 부터 심각하게 벗어난 인간들을 이용하여 동물들의 지위를 높이는 논증방식을 말한다. 싱어, 리건 그리고 레이첼즈가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는 가장자리 경우 논증이 허술한 논증임이 밝혀진다면, 그 논증에 의지하고 있는 동물해방론, 동물권리론 그리고 도덕적 개체주의도 붕괴될 것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첫째로, 싱어, 리건, 레이첼즈가 가장자리 경우 논증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는 구체적인 논의 맥락들을 검토할 것이다. 둘째로, 가장자리 경우 논증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하여 가장 자리 경우 논증을 이용하여 '종'들 간의 차이를 부정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음을 보일 것이다. 셋째로 '종' 개념의 복권을 통해 가장자리 인간들의 도덕적 지위를 새롭게 복원하는 방법을 타진해볼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