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연구
- Issue 50
- /
- Pages.157-186
- /
- 2018
- /
- 1225-469X(pISSN)
- /
- 2734-035X(eISSN)
DOI QR Code
A Study of the Joseon-Japanese Diplomatic Restoration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Relation System after Imjin War
17세기초 조·일 국교재개와 통교체제 재편 과정에 대한 검토 - 연속성과 단절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resuming diplomatic relations and establishing a diplomatic system in the early 17th century. It focused on the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the policy toward Japan in the end of King Seonjo's period and in the early days of Gwanghaegun. This is a studies on serial process of the restoration of peac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process began with the Peace Negotiation, and led to the Resuming Diplastic Relations by dispatching Joseon Emissions to Japan in 1607. The Gwang'hae-gun regime agreed with Japan to sign on the Gi'yu-year agreement in 1609 and by doing so formed a platform for future Joseon-Japan diplomatic talks arranged through the Dae'ma-do/對馬島 island. Then, the Joseon government reinforced the principle of 'banning' Japanese envoys from approaching the Joseon capital, limiting the activities of the Japanese emissaries in Joseon territory to the Wae'gwan facility of the Dong'rae area. These actions of the Joseon government outlined the format for future diplomatic contacts with the Japanese in the dynasty's latter half period. At the time, when the Joseon people was facing Japanese presence in the south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urchen' barbarians' in the north, Gwang'hae-gun considered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Japan and 'protecting the country' from the Jurchen threat as two top-level priorities for the Joseon defense. In order to do that, he had to establish Japan, which invaded Joseon for seven years in the 1590s, as a diplomatic partner to exchange talks with. He had to mitigate the anti-Japanese sentiment of the country's population, and intermediate clashing opinions in the policy discussion process. In the meantime, in order to deal with problems surfacing everywhere, Gwang'hae-gun maintained a stance of prioritizing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and amicable relationships, and not an ideological and principle-based one. It was quite a departure from the government's policy of the late 17th century.
본 연구는 17세기 초 조·일 국교재개와 통교체제 구축의 과정을, 선조 말년과 광해군대 초반 대일정책의 단절성과 연속성에 초점을 맞춰 재구성한 것이다. 이는 곧 임진왜란 종전 후 평화 회복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강화교섭에서 시작되어, 1607년의 회답겸쇄환사에 의한 국교재개와 1609년 기유약조 체결과 후속 조치로 대일통교체제가 재편되는 것으로 결말지어졌다. 본문의 검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조 말년 강화교섭~국교재개에 이르는 과정에서 보이는 대일정책의 굴절·전환을 검토하였다. 이 시기 대일정책의 주도권이 이덕형에서 유영경으로 옮겨갔는데, 이는 조선의 대일정책이 對쓰시마정책에서 對막부정책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막부에 회답겸쇄환사가 파견됨으로써 조·일간 국교가 재개되었다. 둘째, 광해군대 초반 대표적 대일외교 성과인 기유약조의 체결을 선조 말년 대일정책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회답겸쇄환사 파견 당시 논의되고 제시된 대일정책 구상은, 왕위 계승과 그에 수반되었던 정국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유약조 체결로 구현되었다. 광해군대 초반 대일정책은 순탄치 않았던 정권 교체의 와중에도 선대의 성과를 흩트리지 않고 계승하여 안정적 결론에 도달하였다. 셋째, 기유약조 체결 이후 통교체제 완비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들을, 이전시기 유산의 극복과 진전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 시기 정착되었던 일본인 상경 금지의 규례는 대일외교의 공간을 동래 왜관으로 한정시켰다는 점에서 통교체제의 한 축을 이루는 것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