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omen's Voice in Oral Narratives of Social Memory of National Violence ('5.18')

'5.18'의 기억 서사와 '여성'의 목소리

  • Kim, Young-he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 김영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9.15
  • Accepted : 2018.10.27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This essay is focused on finding women's voice in oral narratives of social memory of national violence and resistance. The books of oral narratives of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national violence and participated in the resistance through historic events such as 5.18,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materials that have interviewed women experienced the historic event '5.18' in Gwangju. In this study, there are analyses of the materials of the memory of violence and resistance of '5.18', which have contained the texts written by intellectual males and the oral narratives of females directly involved. So far,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women have not been presented in its entirety in the field of social discourse of '5.18'. In the field women's words were translated in men's words, so the real words disappeared and in the end remained unspoken words. And besides, the existence of women are substituted with the limited images (for example women's body destroyed) presented by men's words in memorial materials. In narratives of '5.18', women are reduced to the images of bodies destroyed by national violence. The destroyed bodies are places for exhibition and disclosure of national violence. Women are not presented as the subjects of the social resistance in oral or written narratives of '5.18'. The images of females are only vehicles to urge the male subjects to resist against unjust violence. In this context, men are interpreted for the protectors of sisters, daughters, wives. Since 1980s, the symbol of '5.18 Gwangju' has represented the most ideal community in Korean society. But women have been on the borderline or outside of the community in fact. However, women intend to construct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resistance through the spoken words. They have tried to make the politic places for themselves in the social field by speaking and speaking constantly. The desire to speak out is becoming stronger for women, so these days more words are spoken by more women and more oral narratives made by women are revealed in social discoursive field. So the place for women's voice is expanding in social memorial field of '5.18'.

이 글은 국가폭력에 관한 서사에서 폭력을 전시하거나 고발하는 장소로 나타나는 '여성의 몸'을 분석하고 이를 젠더 비평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대표적으로 살펴볼 국가폭력 서사는 5.18 광주민주화운동(혹은 광주민중항쟁)에 관한 서사들이다. '5.18'에 초점을 두는 까닭은 이것이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국가폭력의 사건인 동시에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 변화를 촉구하는 대부분의 시민 저항 운동에서 상징적 표상성을 지닌 사건으로 재현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사건이 표상하는 상징성은 '폭력'과 '저항'으로 압축되는데 이 '폭력'과 '저항'의 서사에서 재현된 '여성의 몸'은 중요한 상징적 효과를 창출한다. 최근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과 서술을 둘러싼 학술적 논의는 공식 기록에 등재되는 연대기적 사건 구성에 초점을 두는 방향과 반대로 개별적이고 구체적 장면에 뒤얽힌 개인의 기억과 감정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사건에 참여한 개인들의 구술과 이를 통해 드러난 사회적 기억의 내용이 연구 주제로 초점화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의 결과로 사회 다방면에서 그동안 소외되던 이들의 구술을 청취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 글에서는 타자화된 '여성의 몸'이 국가폭력을 드러내고 고발하는 장소로 재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와 길항(拮抗)하는 구술 서사의 '여성 목소리'가 만들어내는 또다른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폭력과 저항을 재현하는 '여성의 신체'가 아니라 폭력과 저항을 말하는 '여성의 목소리'와 발화의 구체적 내용에 주목하려는 것이다. '재현된' 여성의 신체가 아니라 '말하는' 여성의 입을 통해 폭력과 저항의 서사 속에서 '여성'들이 고통의 기억을 어떻게 서술하는지, 그리고 사건을 서사화하는 전략 수행의 과정에서 자기 정체성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분석하게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