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itcoin, which appeared in 2008, was merely a conceptual virtual currency, but it now enjoys the status as actual money. Bitcoin is an electronic money system that can be traded directly without a central trust institution. Thanks to the popularization of Bitcoin, blockchain technology has become a widespread concern. That technology is expanding not only the currency mechanism, but also a variety of other services. The possibility of a blockchain in relation to actual currency is ongo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nstruction of the blockchain by comparing the cases of Bitcoin, Namecoin, and MediBloc among blockchain applications. Namecoin emerged in 2013 is an attempt to replace the centralized Internet Domain Name System(DNS).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at current system for a long time, but replacing the already established system is not easy. Nevertheless, Namecoin ha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Meanwhile, MediBloc is an application that involves distributed management of medical data in South Korea. MediBloc claims that the key producers of medical data are patients themselves. This is to challenge to the question who is a knowledge producer of medical data. Through these three cases, it has discussed that blockchain technology does supports to form more democratic decision-making or simply provide a technical solution as automation. As a citizen, we can intervene in the realization of blockchains by presenting social agenda. This will be a method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2008년 등장한 비트코인(Bitcoin)은 중앙의 신뢰기관 없이 직접 거래가 가능한 전자 화폐 시스템이다. 당시 비트코인은 단지 개념상의 화폐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현실 화폐만큼의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비트코인의 대중화 덕분에 블록체인 기술은 대중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블록체인 기술은 화폐 기능만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해가고 있다. 블록체인의 가능성은 구성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응용 중에서 비트코인, 네임코인(Namecoin), 메디블록(MediBloc)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블록체인의 기술적 성격과 사회적 상호 구성의 경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3년 등장한 네임코인은 현행의 중앙집중적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을 대체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도메인 네임 관리 방식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논쟁이 있었지만 이미 수립된 체제를 대체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한편 메디블록은 의료데이터의 분산적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메디블록은 의료데이터의 핵심 생산자는 환자이므로 데이터의 관리도 환자에게 권한을 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행의 관리 권한을 분산함으로써 더 민주적인 의사결정 형성을 도울 것인가? 아니면 단지 더 자동화된 기술적 해법에 그칠 것인가? 시민으로서 우리는 블록체인을 의제화함으로써 이 기술의 현실적 구현 과정에 개입할 수 있다. 그것이야말로 기술의 사회적 구성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