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Judo Train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s Security Martial Art Majoring on Body Composition, Behavioral Fitness, Growth hormone and IGF-1

경호무도전공 남자대학생들의 유도수련이 신체구성, 행동체력, 성장호르몬 및 IGF-1에 미치는 영향

  • 양상훈 (세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8.10.25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bodyguard is continuously training basic physical training and security art martial to protect the privacy of security target, prepare and deal with external contingencies and threats. Currentl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ecurity are required to take a judo class, one of their security art martial, which can use a technology to catch, crush and repress oppon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systematic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erformance fitness, growth hormones, and IGF-1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10-week judo training program so that it was committed to providing objective data to enhance the value of judo as a security art martial and as a result, we have a conclusion as follows: After 10 weeks of judo training, muscle mas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body fat rate and BMI decreased significantly. The muscular strength and power of Performance fitness were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and growth hormones were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otal,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for judo training university students, overall body composition improved positively, the muscular strength and power of active physical fitness improved, and growth hormones increased. Thus, the increase in muscle strength and growth hormones through judo training will encourage fat breakdow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body's muscles and increase bone density in the spin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ractures and preventing injury to the trainees who are performing a security art martial. It will also greatly help your health by preventing obesity,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which eventually will enhance your bodyguard function and prolong your life as a bodyguard.

경호원은 경호 대상자의 신변을 외부의 우발상황과 위협에 대비하고 대처하기 위해 기본적인 체력훈련과 경호무도를 지속적으로 수련하고 있으며, 현재 경호전공 대학생들은 보편적으로 상대를 잡고 메치고 제압하는 기술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호무도 중 하나인 유도 수업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주간의 유도수련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훈련이 경호무도전공 남자대학생들의 신체구성, 행동체력, 성장 호르몬 및 IGF-1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경호무도로써 유도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0주간의 유도수련 후 근육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률과 BMI 등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체력의 근력과 순발력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호르몬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도수련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신체구성은 긍정적으로 개선되었고 행동체력의 근력과 순발력은 향상되었으며, 성장호르몬을 증가 시켰다. 따라서 유도수련을 통한 근력과 성장호르몬의 증가는 신체의 근육의 발달로 인해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고 척추의 골밀도를 높여서 골절의 위험을 줄여 수련자들의 부상을 방지해 줄 것이다. 또한 비만 예방, 심혈관질환, 대사성질환을 방지하여 경호업무기능을 높여 주고 경호원으로서의 수명을 연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태, 박준석 (2011). 경호원의 근무유형에 따른 체력과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차이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7, 33-49.
  2. 김성수, 위승두, 이재현, 박호윤, 조성연, 한상완, 박현정, 김동환 (2001). 성장호르몬, IGF-1과 비만지표의 상관성 및 운동에 의한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6, 271-280.
  3. 김용규, 이경희 (2011). 댄스스포츠 운동이 FTO유전자 다형에 따른 Cytokine과 대사성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4(2), 709-719.
  4. 김정수 (2007). 국가대표유도선수들의 과다훈련이 면역글로블린, 성장호르몬, IGF-1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종식, 최흥희 (2010). 유도 수련이 비만 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인슐린 및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727-736.
  6. 김진홍 (2000). 알츠하이머 질환과 에스트로겐. 대한폐경학회지, 6(1), 121-128.
  7. 김태민, 이상철 (2011). 경호무도의 발전과제 탐색의 함의. 대한무도학회지, 13(2), 301-318.
  8. 대한유도회 (2017). 유도경기. 서울: 대한유도회지.
  9. 문화체육부 (1993). 학생체력검사제도 개선 연구.
  10. 박기범, 김태민 (2010). 한국 합기도 기술의 경호무도 적용. 대한무도학회지, 12(3), 343-359.
  11. 박노혁 (2008). 경호무도별 수련이 체력요인 및 대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성자 (2006). 유도 전공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숙자 (2008). 무용교육이 교정시설 청소년의 신체구성, 건강체력 및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용수, 배철호, 이몽우 (2009). 경호학과 학생들의 전공무도별 체력 결정요인 분석. 한국치안행정논문집, 6(2), 171-196.
  15. 손미숙 (2010). 학생체력평가의 효율적 운열을 위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현철 (1998). 초등학생들의 체격지수가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상훈 (2013). 유도선수들의 시즌 전 고강도 훈련이 전문체력과 스트레스 반응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2(3), 249-261.
  18. 양상훈 (2015). 12주간의 유도수련이 비만 남자대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및 인지기능과 성장관련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7(3), 29-44.
  19. 이두일 (2009). 유도의 기원 및 한국 유도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철, 김태민 (2004). 한국민간경비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8, 281-308.
  21. 임순길, 한승훈, 김홍록, 김판수 (2008) 유도전공자와 일반인의 면역능력과 성장호르몬의 차이분석.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233-241.
  22. 전만중 (2007). 경호전공대학생의 체력요인 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4, 431-447.
  23. 정일규, 윤진환 (2011).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서울: 대경북스.
  24. 정재훈 (2014). 유도수업적용이 수업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정진, 조현철 (1994). 신체조성과 체중조절. 서울: 태근문화사.
  26. 조현철, 양상훈, 김종식 (2014). 비만 청소년의 유도수련활동이 PAPS 건강체력 및 염증반응인자 TNF-a, IL-6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9(2), 189-198.
  27. 체육과학연구원 (1998). 우수선수 경기력 진단 및 평가를 위한 전산관리시스템 개발. 서울: 한국체육과학연구원.
  28. 최명애, 김주현, 박미정, 최스미, 이경숙 (2011). 생리학. 서울: 현문사.
  29. 최민복 (2014). 유도 수련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인성.예절성 발달과의 관계성 탐색.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재현, 양점홍 (2005). 근대5종선수의 수영과 달리기 시 동일 심박수에 따른 혈중젖산, 젖산탈수소효소, 암모니아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3), 843-853.
  31. Adams, G. R., & McCue, S. A. (1998). Localizide infusion of IGF-1 results in skeletal muscle hypertrophy in rats. J. Appl Physiol, 85(5), 1716-1722.
  32.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33. Baechle, T. R., & Earle, R. W. (2000).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Creative Printing, Hong Kong.
  34. Borg, G. (1998). Borg's Perceived Exertion and Pain Scale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35. Bouillanne, O., Rainfrray, M., Tissandier, O., Nasr, A., Lahlou, A., & Cnockaert, X. (1996). Growth hormone therapy in elderly people and age-delaying drug? Fundam Clin Pharmacol, 10, 416-430. https://doi.org/10.1111/j.1472-8206.1996.tb00596.x
  36. Consitt, L. A., Copeland, J. L., & Tremblay, M. S. (2002). Endogenous anabolic hormone responses to endurance versus resistance exercise and training in women. Sports Med, 32(1), 1-22. https://doi.org/10.2165/00007256-200232010-00001
  37. Crewther, B., Keogh, J., Cronin, J., & Cook, C. (2006). Possible stimuli for strength and power adaptation: acute hormonal responses. Sports Med, 36(3), 215-238. https://doi.org/10.2165/00007256-200636030-00004
  38. Daughaday, W. H., & Rotwein, P. (1989). Insulin-like growth factors I and II: Peptide, messenger ribonucleic acid and gene structures, serum, and tissue concentrations. Endocr Rev, 10(1), 68-91. https://doi.org/10.1210/edrv-10-1-68
  39. DeVol, D. L., Rotwein, P., Sadow, J. L., Novakofaki, J., & Bechtel, P. J. (1990) Activ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gene expression during work-induced skeletal muscle growth. Am J Physiol, 259, E89-95.
  40. Nindle, R. M., Bouchard, C., & Bar-Or, O. (2002).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41. Petra, K., Madelon, M., Simon, W., Inge, H. A., Peter, J., & Hanno, P. (2003). AcipimoxEnhancesSpontaneousGrowth Hormone Secretion in Obese. American Journal Physiology, 10, 1152-1160.
  42. Rhea, M. R., Alvar, B. A., Burkett, L. N., & Ball, S. D. (2003). A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dose response for strength development.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35(3), 456-464. https://doi.org/10.1249/01.MSS.0000053727.63505.D4
  43. Sara, V. R., & Hall, K. (1990). Insulin-like growth factors and their bindingproteins. Physiology Review, 70, 591-614. https://doi.org/10.1152/physrev.1990.70.3.591
  44. Singer, R. N. (1972). The Psychomotor Domain. Philadelphia Febiger.
  45. Singh, M. A., Ding, W., Manfredi, T. J., Solares, G. S., ONell, E. F., Clements, K. M., Ryan, N. D., Kehayias, J., Fielding, R. A., & Evans, W. (1999). Insulin-like growth hormone in obese diet-restricted subjects are dose dependent. Am. J. Clin, Nutr., 52, 431-437.
  46. Sonksen, P. H. (2001). Insulin, growth hormoneand sport. Society for Endocrinology Symposium, London, 170(1), 13-25.
  47. WHO (1967). Exercise Test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Function. Report of a W.H.O. Meeting. Genova.
  48. Yakar, S., Rosen, C. J., Beamer, W. G., Ackert-Bicknell, C. L., Wu, Y., Liu, J. L., Ooi, G. T., Setser, J., Frystyk, J., Boisclair, Y. R., & LeRoith, D. (2002). Circulating levels of IGF-1 directly regulate bone growth and density.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0, 771-781. https://doi.org/10.1172/JCI0215463
  49. 국립국어원(2017). 경호. http://stdweb2.korean.go.kr/scarch/List_dic.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