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Wearable Device Usage: Perspectives of Behavioral Economics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 결정요인: 행동경제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6.05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Purpose Wearable devic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ethods powering the growth of the next generation. However, ICT's innovation resistance has been a contributing factor in slowing down this spread of wearable devi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to this phenomenon, this study served to examine the effect of determinants of wearable devices to usage with the perspectives of behavioral economics. Design/methodology/approach: For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developed research hypotheses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that migh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age of the wearable device. The empirical research was based on a survey which carried through 500 participants. Research results were evaluated via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19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inding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upling. It means that perceived benefits lowering coupling and perceived costs increasing coupling.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Finally,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usage of wearable devices.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영,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사용자 중심 웨어러블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2015, pp. 325-333.
  2. 김나연, "전략적 시장 위치 식별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류 체계,"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 김병주, "X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 연구: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1권, 제2호, 2015, pp. 81-91.
  4. 김상윤, '한국형 4차 산업혁명 Framework 3대추진 역량," 포스코 경영연구원, 2017.
  5. 박경자, "네트워크 외부성이 첨단기술제품에 대한 가치와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컨버전스제품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4권, 제4호, 2015, pp. 21-42.
  6. 박경자, 고준, 박승봉,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중단은 왜 발생하는가?,"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5권, 제1호, 2015, pp. 1-16.
  7. 박경자, 유일,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본 SNS 사용중단에 관한 의사결정: 심적 회계이론과 제한된 합리설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4호, 2014, pp. 377-398.
  8. 박종석, 권혁인, "생체인증기술의 혁신저항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 53-75.
  9. 배재권,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자의 혁신특성, 소비자특성, 혁신저항, 그리고 수용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5권, 제4호, 2016, pp. 87-104.
  10. 손현정, 이상원, 조문희,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8권, 제1호, 2014, pp. 7-33.
  11. 신명섭, 이영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2015, pp. 498-506.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498
  12. 신재권,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혁신저항에 대한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신재권, 이상우,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6권, 제6호, 2016, pp. 123-134.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123
  14. 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혁신특성과 사용자 특성이 전자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2014, pp. 61-73.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061
  15. 윤영구, "가격과 기술의 불확실성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6. 이상일,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성과기대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이성준,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가치와 구매 의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3권, 제3호, 2015, pp. 93-115.
  18. 이재광, 강지호, 김한별, 안이슬, 오미진, 조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1호, 2016, pp. 195-213.
  19. 이종설, "개인 수준의 디커플링, 혁신행동, 혁신 저항: Six Sigma 방법론의 집합적 실행 상황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0. 이호정, 오희선,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에 관한연구-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를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연구, 제18권, 제2호, 2015, pp. 239-244.
  21. 정지연, 노태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5권, 제4호, 2017, pp. 205-212. https://doi.org/10.14400/JDC.2017.15.4.205
  22. 정지영, 정하영, 조현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수용-저항 동기에 대한 실증연구: 다변인 판별분석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 115-134.
  23. 정덕윤, 박경자, 김소라, 유일, "SNS 사용자의 지각된 비용이 합리적 무관심과 사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3호, 2016, pp. 169-194.
  24. 채수연, 이윤구, 정윤혁, 최세정,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관점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7권, 제2호, 2016, pp. 99-128.
  25. 최광재, "ICT 기반의 미디어 기술혁신 도입에 대한 미디어기업 내부구성원들의 혁신 저항 요인과 행동 연구: MTA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6. 편석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치와 미래," 기계저널, 2권, 2016.
  27. Chang, H. S., Lee, S. C. and Jung, Y. G., "Wearable device adoption model with TAM and TTF,"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Vol. 14, No. 5, 2016, pp. 518-537.
  28. Hosokawa, Y., "Wearable device and IoT in the workplace," Japan TAPPI Journal, Vol. 70, No. 3, 2016. pp. 17-22.
  29. Lee, S. Y. and Lee, K. H. "Factors that influence an individual's intention to adopt a wearable healthcare device: The case of a wearable fitness tracker"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129, No. 1, 2018, pp. 154-163.
  30. Moldovan, S., "Cellular automata modeling of resistance to innovations: effects and solution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71, No. 5, 2004, pp. 425-442. https://doi.org/10.1016/S0040-1625(03)00026-X
  31. Rauschnabel, P. A., Brem, A., and Ivens, B. S., "Ho will buy smart glasses? Empirical results of two pre-market-entry studies on the role of personality in individual awareness and intended adoption of google glass wearab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49, No. 6. 2015, pp. 635-647.
  32.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4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1995.
  33. Rupp, M. A., Michaelis, J. R., McConnell, D. S. and Smither, J. A.,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perceptions of wearable fitness device trust, usability, and motivational impact," Applied Ergonomics, Vol. 70, No. 1. 2018, pp. 77-67.
  34. Verhallen, T. M., and Van Raaij, W. F., "How consumers trade off behavioural costs and benefi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 20, No. 3/4, 1986, pp. 19-34.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4639
  35. Wu, J., Li, H., Lin, Z. and Goh, K. Y., "How big data and analytics reshape the wearable device market: The Context of e-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 55, No. 17, 2017, pp. 5168-5182. https://doi.org/10.1080/00207543.2015.1059521
  36. Yang, H., Yu, J., Zo, H. and Choi, M., "User acceptance of wearable devices: An extended perspective of perceived value,"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33, No. 2, 2016, pp. 256-269. https://doi.org/10.1016/j.tele.2015.08.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