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Classical Performance Types by the Audience and Its Effects on Performance Invigoration

소비자의 클래식공연유형 인식과 활용이 클래식공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이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 대학원) ;
  • 최배석 (단국대학교 문화예술 대학원)
  • Received : 2018.07.17
  • Accepted : 2018.09.20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is paper studies how the audience perceives the types of classical performances in their performance choice, analyzes its effects on performance invigoration, and investigates how such an audience perception affects the marketing application of performance on the supply side. For this, based on data of performance programs delivered in five representative concert halls for last three years as well as the classification of previous literature, we classified performance types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Authentic classic, Omnibus, Lecture, Crossover and Mixture type. And then, we surveyed the audience of classical music. From statistical analyses, we found first that the audience perceives the types of classical performances and utilizes their perception as an element in choosing performances. Second, the perception of classical performance types has significant effects on audience development and progress in circumstances of high audience acceptance and satisfaction. Finally, this result confirms that suppliers can employ this audience perception as a marketing strategy by setting target audience based on such perception.

본 연구는 클래식 공연 소비자들이 공연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있어 공연유형 인식과 활용이 클래식 공연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지, 또 공연유형 분류체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공연 생산자들에게는 마케팅 측면에서 활용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자들의 분류체계와 전국 대표적인 5개 도시공연장에서 진행한 최근 3년간 공연 프로그램과 여타 자료 분석을 통해 정통클래식 유형 옴니버스 유형 렉처 유형 크로스오버 유형 그리고 혼합유형 5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 유형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클래식 소비자들은 잠재적으로 공연유형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재로 공연선택의 요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형을 인지하고 수용도와 만족도가 높은 상태에서 관객개발과 클래식 공연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공연 제작자는 분류된 유형에 의한 명확한 타깃층을 설정함으로서 흥행을 위한 마케팅 기법으로 적지 않은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호, "고객만족을 위한 클래식 음악공연의 형태별 시장 세분화 연구," 고객만족 경영연구, 제12권, 제3호, pp.129-155, 2010.
  2. 김현수, 산업 생태계분석에 따른 클래식음악공연 시장의 활성화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 2016. 재인용
  3. Bourdieu, 최종철 역,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p.47, 2006.
  4. R. A. Peterson and A. Simkus, How musical ta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In Lamont, Michele, M. Fournier(Eds.), Cultivating Differenc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152-168, 1992.
  5. 최연식, 변혁, "<앙상블 디토> 관객세분화에 따른 관람형태를 중심으로 본 새로운 클래식 음악 관객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제32권, pp.67-91, 2014.
  6. 최태규, "문화콘텐츠로서 뮤지컬의 선택 및 만족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05-21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205
  7. 권혁인, 김현수, 최용석, "클래식 음악공연의 소비자 선택요인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객유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2016.
  8. C. S. Skrzypczak, "Is there a niche for a major symphony with its own symphony hall on Long Island," Community support of the performing arts-selected problems of local and national interest, Vol.7, No.5, pp.163-202, 1970.
  9. C. B. Weinberg and K. M. Schachmut, "Arts plan: a model based system for use in planning a performing arts series," Management Science, Vol.24, No.6, pp.654-664, 1978. https://doi.org/10.1287/mnsc.24.6.654
  10. 이은정, 클래식 음악공연의 고객 선호도와 선택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윤유경, "여성의 클래식음악공연 수용과정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제22권, pp.145-166, 2009.
  12. 김주호, "신뢰재의 관점에서 본 클래식 음악공연의 매체 정보활용 및 구매행동 :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1권, 제6호, pp.31-55, 2010.
  13. 조아라, 클래식음악공연의 유료관객 특성연구: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P. Nelson, "Information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78, pp.311-329, 1970. https://doi.org/10.1086/259630
  15. 이유재, 이준엽, 라선아,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 행동 연구에 대한 고찰," 경영논집, 제33권, 제3호, pp.308-340, 1999.
  16. 보니타 M. 콜브, 새로운 소비자를 위한 문화예술 기관의 마케팅, 이보아, 안성아 역, 김영사, 2004.
  17. 안호상, 공연예술 시즌 티켓이 관객의 구매행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재인용
  18. 황성원, 김한창,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 성과관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pp.1-25, 2007.
  19. 김태연, 지방자치 단체의 성과관리제도 수용성 영향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2016.
  20. 문화체육관광부, "2015년 공연예술실태조사, "www.mcst.go.k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