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사회적경제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따복공동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upport Models for Invigoration of Local Socioeconomic Communities - Focused on Ddabok Communities in Gyeonggi Province -

  • 장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 김연복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
  • 오민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투고 : 2018.06.11
  • 심사 : 2018.08.29
  • 발행 : 2018.09.30

초록

본 연구는 근년 확대되어 온 사회적경제활동이 지역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공공지원단체가 기본적으로 인식할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지원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정비한 경기도 지역을 사례로 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경기도민의 수요조사를 통하여 따복공동체 정책과 지역공동체활성화요인에 대하여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에서는 조사결과에 따라 경기도민의 요구의 특징과 지원의 과제를 밝히었고 과제에 따라서 6개의 지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과제는, 따복공동체에 대한 낮은 이해도, 저조한 공동체활동, 사회적경제의 실천의지의 취약성 점을 극복하고 주거지 근처의 공동체 활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다. 나아가 따복공동체사업에 참여한 지역민들과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따복공동체가 지역사회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통합화형과 개별화형, 수요대응형과 역량맞춤형, 자원집중형과 자원분산형의 지원모델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tasks which public support groups should fundamentally perceive and develop support models based on it so that socioeconomic activities, which have been spreading in recent years, can settle in local communities. For this aim, this study was proceeded based on Gyeonggi Province, which has established socioeconomic support center at metropolitan councils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The demands by Gyeonggi Province residents toward the policies by Ddabok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y invigoration measures have been examined through demand survey. In the analysis, characteristics and support tasks of the demands have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six support model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tasks. The derived tasks are overcoming low understanding of Ddabok communities, low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poor will to perform socioeconomic practices and satisfying the demand toward community activity areas adjacent to residenc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with the residents who have an experience of taking part in the Ddabok Community Project have to be overcome.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support models of integration style and differentiated style, response to demand style and customization to capability style, and resources-focused style and resources-scattered style are necessary in order for socioeconomic communities like Ddabok communities to settle in local commun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2016, 2015 경기도 따복공동체 백서.
  2. 김항집, 2011,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 pp.123-148.
  3. 김경희, 2013,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3(2), pp.126-150.
  4. 김용문.정윤재.이형신.이상동, 2015,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생태계 조성을 위한 성남시 지식 산업과 사회적경제 연계방안연구, 성남시 연구보고서.
  5. 김현호, 2013,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6. 남승균, 2015, 사회적 경제와 지역내발적 발전에 관한 연구, 인천학 연구, 23, pp.85-124.
  7.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 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pp.1-26.
  8. 박봉원.유영심, 2016, 리빙랩(Living Lab)와 지역사회개선,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메모.
  9. 박소연.박인권, 2013, 마을기업에 의한 전통시장활성화 메커니즘 분석: 통인시장 사례, 공간과 사회, 23(3), pp.87-96.
  10. 박경민, 2016, 마을교육공동체구축을 위한 실천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양병찬, 2007, 학습도시에서의 주민교육공동체운동의 전개, 평생교육학연구, 13(4), pp.173-201.
  12. 양병찬, 2015,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가능성 탐색 시흥시 '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21(3), pp.1-23.
  13. 여관현, 2015, 주민학습과 실천을 통한 마을만들기의 지속 가능성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pp.29-51.
  14. 이기태.하현상, 2016,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 조직의 역할-거래비용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보, 25(1), pp.455-490.
  15. 이현주, 2015, 마을기업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과 정책연구, 4(2), pp.61-89.
  16. 이왕건, 2012, 주민중심의 커뮤니티를 도시.지역 재생방안, 국토, 363, pp.22-29.
  17. 전지훈.최문형.정문기, 2015, 지역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및 지역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코인스트리트, 나가하마, 삼덕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1), pp.87-114.
  18. 정병흠, 2016,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지역문화역량 강화 방안-전통문화유산교육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0(4), pp.161-180.
  19. 최인수.김건위, 2015, 리빙랩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6(4)(2015. 12), pp.83-101.
  20. 최영출, 2004,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AHP방법론의 적용, 지방행정연구, 18(1), pp.19-50.
  21. 채종헌.최준규, 2012,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이 역할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pp.196-225.
  22. 최준규, 2016, 경기도 따복공동체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5년도 경기도 따복공동체지원센터 기본연구사업 결과보고서.
  23. 황익주.정헌목, 2012, 도시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지역 공동체형성의 과제: 4개 도시 사례의 비교연구, 정신문화연구, 35(2), pp.101-128.
  24. 한상일.정무권.박문수.윤성국, 2013, 지방자치단체의 비형식학습에 대한 비교 사례 분석: 한국과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1), pp.367-392.
  25.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 2014, 사회적 기업 개요집.
  26. 金子郁容, 2004, それはコミュニティからはじまった. 本間正明他(2004).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の時代-NPOが変える産業, 社会, そして個人, 岩波書店.
  27. 宮本 憲一.中村 剛治郎.横田 茂, 1990, 地域経済学, 有斐閣ブック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