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Department on Nursing Students

  • 박의정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 정경순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Park, Euijeung (Dept.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 Jeong, Gyeongsun (Dept.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투고 : 2018.05.17
  • 심사 : 2018.06.22
  • 발행 : 2018.09.30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Department on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2 nursing students in K colleg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3, 2017 to April 20, 2017.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 The mean scores for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2.75 (${\pm}1.00$), 2.86 (${\pm}0.95$) and 3.72 (${\pm}0.92$) respectively. The ego-resilience score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religion (F=4.39, p=.002), choice motivation (F=3.99, p=.004),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F=13.53, p=.015). The self-efficacy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ligion (F=3.18, p=.014).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also differed according to choice motivation (F=7.54, p= .007),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F=11.66,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r=.608, p<.01), between ego-resili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342, p<.01), between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256, p<.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tudy with expanded number and scope of subjects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a students' interest in Satisfaction of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which will result in a higher degree of department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윤경(2013).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5), 2178-2186.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178
  2. 권혁미, 한혜숙(2018). 간호대학생의 행복인식과 학과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527-536. https://doi.org/10.5762/KAIS.2018.19.1.527
  3. 김경남(2015). 간호대학생의 디딤돌 학습법이 자아탄력성, 지기효능감,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193-202.
  4. 김경하(2018).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399-40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399
  5. 김계현,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 연구, 1(1), 7-20.
  6. 김덕진, 이정섭(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44-25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44
  7. 김명숙(2011).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159-167.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59
  8. 김영순, 오은주(2016). 간호대학생의 감성 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전공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7), 103-111. https://doi.org/10.5762/KAIS.2016.17.7.103
  9. 김영희(2015).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간호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 8948-8956.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948
  10. 문인오, 이경완(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83-91.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83
  11. 박선화, 한승희(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517-52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517
  12. 박완주(2009).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비판적사고성향, 학습양식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8(3), 240-250.
  13. 박영신, 김의철(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질: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파주, 교육과학사.
  14. 박진아, 홍지연(2016).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342-35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342
  15. 박지현, 김은희(2017).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193-202.
  16. 박현진(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손혜경, 권수혜, 박현주(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5), 636-646.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36
  18. 신은정, 박영숙(2013).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11), 5636-5645.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36
  19. 오지현(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873-88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73
  20. 이외선(2014). 간호대학생을 위한 감성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장수현, 이미영(2015).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255-265.
  22. 정경순, 박의정(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면의 질, 정신건강과의 관계. 대한통합의학회지, 5(4), 67-76. https://doi.org/10.15268/KSIM.2017.5.4.067
  23. 정미현, 신미아(2006).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70-177.
  24. 조정애, 김정선(2016).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87-595.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87
  25. 전해옥(2016).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2), 171-18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71
  26. 전현숙(2017).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2), 213-22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213
  27. 조인영(2014).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5), 2937-2945.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937
  28. 한혜순, 김윤영(2018).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 29-38.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1.29
  29. 홍혜영(1995). 완벽주의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Braskamp LA, Wise SL, Hengstler DD(1979). Student satisfaction as a measure of development quality. J Edu Psychol, 71, 494-498. https://doi.org/10.1037/0022-0663.71.4.494
  31. Klohnen EC(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ey. J Pers Soc Psychol,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32. Sherer M, Maddux JE, Meracndante B, et al(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33. Luthar SS, Cicchetti D, Becker B(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 71(3), 543-562.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